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고령층에서 BMI(체지방 지수)가 높을수록 오히려 암 발병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관건은 '허리 둘레'였다. BMI가 낮아도 허리둘레가 길면 암 발병 위험이 높았다.

고대구로병원 내분비내과 장수연 교수 연구팀이 고령층에서 암 발생과 체질량지수(BMI)·허리둘레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했다.

연구팀은 2009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65~80세 한국인 24만 762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진행했다. 모든 참가자는 기저에 암 병력이 없는 상태였다. 2020년까지 추적 관찰을 통해 암 발생 여부를 확인했다. 평균 11.3년의 추적 기간 동안 총 4만 3369건의 암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는 측정값을 바탕으로 네 그룹으로 나눠,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암발생 위험비를 산출했다.

분석 결과, 놀랍게도 체질량지수(BMI)가 높을수록 암 발생 위험이 오히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은 염증·산화 스트레스·인슐린 저항성 등을 통해 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의외의 결과다.

반면 허리둘레는 길수록 암 발생 위험이 더욱 증가했다. 정상 체중(BMI 18.5~23) 범위 내에서도 허리둘레가 높을 경우 암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경향은 남성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장수연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겉으로 보기엔 ‘정상 체중’이라도 복부 비만이 있으면 암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고령에서 체질량지수(BMI)가 높다는 것은 단순히 체지방량이 많다는 의미가 아닐수 있으며, 근육량이 상대적으로 유지되고 영양상태가 양호함을 반영할 수도 있다”고 했다. 이어 “나이가 들면 근육량이 감소하고 체지방이 복부 쪽으로 재분포되기 때문에, 체질량지수(BMI)만으로는 노인의 체성분과 대사 건강을 정확히 반영하기 어려우므로, 노인층에서는 적정체중 유지와 더불어 복부 비만 관리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암을 예방하는데 중요함을 보여준 연구결과”라고 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노인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가 암 발생과 반대 방향의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기존의 여러 연구들에서는 체질량지수(BMI)가 높을수록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었으나, 이는 주로 중년층 이하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였다.

장수연 교수는 “향후 근육량과 체지방 분포를 포함한 체성분 분석 후속 연구를 통해 근육량이 실제로 노인층의 암 발생에 있어 보호적인 역할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온콜로지'(Frontiers in Onc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