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배우 이정섭(79)이 핼쑥해진 근황을 전했다.
29일 MBN ‘특종세상’ 측은 ‘배우 이정섭, 죽지 않기 위해 기도한 사연’이라는 선공개 영상을 게재했다.
이정섭은 배우로 활발히 활동했던 때를 떠올리며 “여성화된 남성역의 동성연애자 연기를 했는데 기가 막히니까 차인표, 신애라 부부가 탄생한 ‘사랑을 그대 품 안에’에 출연하게 됐다”며 “여성 의류 부티크 점주 역을 맡아 연기를 했는데 내가 진짜 여자인 줄 알더라”라고 회상했다.
이어 “(집안에서) 선을 어찌나 보라고 하는지 지겨워 죽겠더라. 내가 종손만 아니었으면 독신이었을 것”이라며 집안 강요로 원치 않는 결혼을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이정섭은 이날 더욱 야윈 모습으로 등장해 누리꾼의 걱정을 샀다. 이정섭은 과거 위암 수술을 받은 바있다. 그는 “2015년 건강 프로그램에서 내시경을 했다. 근데 대표 PD가 ‘내시경을 해보니 위암 말기’라고 하더라”라고 밝혔다. 정밀 검진을 해보니 말기가 아닌 1기 초였고, 위를 4분의 3을 절제하는 수술을 받았다. 위암은 완치됐지만, 이후 덤핑증후군을 앓았다고 밝혀 더욱 안타까움을 샀다.
덤핑 증후군은 위 절제술 이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이다. 음식물이 소화과정을 다 거치지 못하고 소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오심, 구토, 현기증, 발한 등의 증상을 일컫는다. 국립암센터 자료에 따르면, 덤핑 증후군은 좀더 정확하게 위의 크기가 작아지고 위 배출을 조절하는 유문이 제거되면서 당도가 높은 음식물이 소장으로 급격히 내려가 생기는 증상들이다.
덤핑 증후군은 조기 덤핑 증후군, 후기 덤핑 증후군으로 나뉜다. 조기 덤핑 증후군은 식후 30분 정도에 발생하며 심장 두근거림, 설사, 메스꺼움 등이 생긴다. 후기 덤핑 증후군은 식후 두세 시간 뒤 식은땀, 혈기증 등 저혈당 증상을 유발한다.
다만, 덤핑 증후군은 식습관 조절로 예방할 수 있다. ▲소량씩 자주, 꼭꼭 씹어서 천천히 식사하고 ▲고단백, 적절한 지방, 저탄수화물 음식물을 섭취하고 ▲수술 후 1~2개월 정도까지는 설탕, 꿀, 케이크, 아이스크림, 시럽 등 단순 당질의 과다한 섭취를 제한하고 ▲식사 후 바로 움직이지 말고 15~30분 비스듬히 기대어 편한 자세로 쉬고 ▲섬유소가 많은 식품은 (소화하기 어려울 수 있어) 제한하고 ▲식사 중 국물 등의 섭취는 (음식물이 내려가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피하며 ▲음료의 경우도 식후 30분 정도 지나서 섭취하는 것이 좋다.
한편, 위암 조기 발견을 위해서 40세 이상이라면 2년에 한 번은 위 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한다. 위암 가족력이 있거나 위궤양 등 이상 소견이 있다면 40세 이전에도 위 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29일 MBN ‘특종세상’ 측은 ‘배우 이정섭, 죽지 않기 위해 기도한 사연’이라는 선공개 영상을 게재했다.
이정섭은 배우로 활발히 활동했던 때를 떠올리며 “여성화된 남성역의 동성연애자 연기를 했는데 기가 막히니까 차인표, 신애라 부부가 탄생한 ‘사랑을 그대 품 안에’에 출연하게 됐다”며 “여성 의류 부티크 점주 역을 맡아 연기를 했는데 내가 진짜 여자인 줄 알더라”라고 회상했다.
이어 “(집안에서) 선을 어찌나 보라고 하는지 지겨워 죽겠더라. 내가 종손만 아니었으면 독신이었을 것”이라며 집안 강요로 원치 않는 결혼을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이정섭은 이날 더욱 야윈 모습으로 등장해 누리꾼의 걱정을 샀다. 이정섭은 과거 위암 수술을 받은 바있다. 그는 “2015년 건강 프로그램에서 내시경을 했다. 근데 대표 PD가 ‘내시경을 해보니 위암 말기’라고 하더라”라고 밝혔다. 정밀 검진을 해보니 말기가 아닌 1기 초였고, 위를 4분의 3을 절제하는 수술을 받았다. 위암은 완치됐지만, 이후 덤핑증후군을 앓았다고 밝혀 더욱 안타까움을 샀다.
덤핑 증후군은 위 절제술 이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이다. 음식물이 소화과정을 다 거치지 못하고 소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오심, 구토, 현기증, 발한 등의 증상을 일컫는다. 국립암센터 자료에 따르면, 덤핑 증후군은 좀더 정확하게 위의 크기가 작아지고 위 배출을 조절하는 유문이 제거되면서 당도가 높은 음식물이 소장으로 급격히 내려가 생기는 증상들이다.
덤핑 증후군은 조기 덤핑 증후군, 후기 덤핑 증후군으로 나뉜다. 조기 덤핑 증후군은 식후 30분 정도에 발생하며 심장 두근거림, 설사, 메스꺼움 등이 생긴다. 후기 덤핑 증후군은 식후 두세 시간 뒤 식은땀, 혈기증 등 저혈당 증상을 유발한다.
다만, 덤핑 증후군은 식습관 조절로 예방할 수 있다. ▲소량씩 자주, 꼭꼭 씹어서 천천히 식사하고 ▲고단백, 적절한 지방, 저탄수화물 음식물을 섭취하고 ▲수술 후 1~2개월 정도까지는 설탕, 꿀, 케이크, 아이스크림, 시럽 등 단순 당질의 과다한 섭취를 제한하고 ▲식사 후 바로 움직이지 말고 15~30분 비스듬히 기대어 편한 자세로 쉬고 ▲섬유소가 많은 식품은 (소화하기 어려울 수 있어) 제한하고 ▲식사 중 국물 등의 섭취는 (음식물이 내려가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피하며 ▲음료의 경우도 식후 30분 정도 지나서 섭취하는 것이 좋다.
한편, 위암 조기 발견을 위해서 40세 이상이라면 2년에 한 번은 위 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한다. 위암 가족력이 있거나 위궤양 등 이상 소견이 있다면 40세 이전에도 위 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