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질환 치료의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과거에는 병변 부위를 보기 위해 피부를 크게 절개하고 근육을 넓게 벌려 신경을 직접 확인하는 개방형 수술이 일반적이었다. 이제는 피부 절개를 최소화해 근육 손상을 줄이는 최소침습 척추수술(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MIS)이 주류로 자리 잡고 있다. 병변에만 정밀하게 접근하기 때문에 통증과 출혈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흉터도 작다.
대표적인 척추질환으로는 허리디스크(요추 추간판 탈출증), 척추관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등이 있다. 이들 질환은 신경 압박으로 허리 통증, 다리 저림과 방사통을 유발한다. 약물·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근력 저하·감각 저하 등 마비 증상이 나타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과거에는 넓은 시야를 위해 큰 절개가 필요했지만, 현미경·내시경 기술의 발전으로 작은 절개만으로도 충분한 시야와 안전한 수술이 가능해졌다.
단방향 내시경 수술은 직경 약 4~5 mm의 카메라와 수술 기구가 하나의 통로로 들어가 병변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절개가 1 cm 내외로 작고 연부 조직 손상이 적어 통증과 출혈이 적으며, 수술 당일 보행도 가능한 경우가 많다. 디스크 탈출증이나 국소적 협착처럼 병변이 비교적 국한된 경우 효과적이고, 고령자나 기저질환자에게도 부담이 적다.
양방향 내시경 수술은 카메라 통로와 기구 통로를 분리해 두 개의 작은 절개로 진행한다. 물 세척을 통한 깨끗한 수술 시야와 기구 조작의 자유도가 높아 후궁·황색인대·후관절 주변의 정밀한 신경 감압이 가능하다. 단방향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양측 감압이나 다소 넓은 범위의 병변까지 안정적으로 다룰 수 있어 기존 단방향의 한계를 보완했다.
모든 경우가 ‘신경 감압’만으로 해결되지는 않는다. 불안정성(척추전방전위증 등), 다분절 퇴행, 재발·불유합, 변형 교정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유합술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유합술도 최소침습화되어 출혈과 근 손상을 크게 줄이고 있다.
사측방 요추체간유합술(OLIF)은 측복부의 작은 절개로 복막 앞쪽 통로를 이용해 디스크 공간에 접근한다. 디스크 높이와 전만(lordosis) 회복에 유리하고 케이지로 간접 감압을 유도한다. 후방 근육을 벌리지 않으므로 통증이 비교적 적고 회복이 빠르다.
경추간공경유 요추체간유합술(TLIF)은 양방향 내시경을 이용해 한쪽 후궁을 최소한으로 열고 병변을 제거한 뒤 케이지를 삽입하고 나사못 고정으로 감압과 안정화를 동시에 달성한다. 내시경 시야에서 신경 구조물 확인이 용이하고 연부 조직 손상이 적어 회복과 통증 감소 측면의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최소침습 유합술은 개방형 유합술에 준하는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출혈 감소, 감염 위험 저감, 입원 기간 단축의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최근에는 3D 영상 내비게이션, 실시간 형광 증강 영상, 고해상도 내시경 시스템, 신경 감시장치 등이 보편화되며, 나사못 삽입과 케이지 위치, 감압 범위를 정밀하게 검증할 수 있다. 이는 수술 정확도와 안전성을 높이고,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에 맞춘 맞춤형 수술을 가능하게 한다.
수술의 목표는 통증을 없애는 것을 넘어 얼마나 빨리·안전하게 일상으로 복귀하는가에 있다. 본원 척추센터는 단·양방향 내시경, OLIF·양방향 내시경 TLIF 등 최신 최소침습 수술 기법을 환자 병변과 증상에 맞춰 개별화해 적용하고, 수술 후에는 통증 관리와 재활치료를 유기적으로 연계해 회복을 돕는다.
마지막으로, 모든 환자에게 수술이 답은 아니다. 적절한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마비·대소변 장애 등 신경학적 악화가 의심되면 지체하지 말고 전문의 진료를 권한다. 척추 구조를 보존하면서 신경을 정밀하게 감압·안정화하는 것이 최소침습 수술의 핵심임을 기억하자.
(*이 칼럼은 신세계서울병원 척추내시경센터 김동욱 센터장의 기고입니다.)
대표적인 척추질환으로는 허리디스크(요추 추간판 탈출증), 척추관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등이 있다. 이들 질환은 신경 압박으로 허리 통증, 다리 저림과 방사통을 유발한다. 약물·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근력 저하·감각 저하 등 마비 증상이 나타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과거에는 넓은 시야를 위해 큰 절개가 필요했지만, 현미경·내시경 기술의 발전으로 작은 절개만으로도 충분한 시야와 안전한 수술이 가능해졌다.
단방향 내시경 수술은 직경 약 4~5 mm의 카메라와 수술 기구가 하나의 통로로 들어가 병변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절개가 1 cm 내외로 작고 연부 조직 손상이 적어 통증과 출혈이 적으며, 수술 당일 보행도 가능한 경우가 많다. 디스크 탈출증이나 국소적 협착처럼 병변이 비교적 국한된 경우 효과적이고, 고령자나 기저질환자에게도 부담이 적다.
양방향 내시경 수술은 카메라 통로와 기구 통로를 분리해 두 개의 작은 절개로 진행한다. 물 세척을 통한 깨끗한 수술 시야와 기구 조작의 자유도가 높아 후궁·황색인대·후관절 주변의 정밀한 신경 감압이 가능하다. 단방향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양측 감압이나 다소 넓은 범위의 병변까지 안정적으로 다룰 수 있어 기존 단방향의 한계를 보완했다.
모든 경우가 ‘신경 감압’만으로 해결되지는 않는다. 불안정성(척추전방전위증 등), 다분절 퇴행, 재발·불유합, 변형 교정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유합술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유합술도 최소침습화되어 출혈과 근 손상을 크게 줄이고 있다.
사측방 요추체간유합술(OLIF)은 측복부의 작은 절개로 복막 앞쪽 통로를 이용해 디스크 공간에 접근한다. 디스크 높이와 전만(lordosis) 회복에 유리하고 케이지로 간접 감압을 유도한다. 후방 근육을 벌리지 않으므로 통증이 비교적 적고 회복이 빠르다.
경추간공경유 요추체간유합술(TLIF)은 양방향 내시경을 이용해 한쪽 후궁을 최소한으로 열고 병변을 제거한 뒤 케이지를 삽입하고 나사못 고정으로 감압과 안정화를 동시에 달성한다. 내시경 시야에서 신경 구조물 확인이 용이하고 연부 조직 손상이 적어 회복과 통증 감소 측면의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최소침습 유합술은 개방형 유합술에 준하는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출혈 감소, 감염 위험 저감, 입원 기간 단축의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최근에는 3D 영상 내비게이션, 실시간 형광 증강 영상, 고해상도 내시경 시스템, 신경 감시장치 등이 보편화되며, 나사못 삽입과 케이지 위치, 감압 범위를 정밀하게 검증할 수 있다. 이는 수술 정확도와 안전성을 높이고,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에 맞춘 맞춤형 수술을 가능하게 한다.
수술의 목표는 통증을 없애는 것을 넘어 얼마나 빨리·안전하게 일상으로 복귀하는가에 있다. 본원 척추센터는 단·양방향 내시경, OLIF·양방향 내시경 TLIF 등 최신 최소침습 수술 기법을 환자 병변과 증상에 맞춰 개별화해 적용하고, 수술 후에는 통증 관리와 재활치료를 유기적으로 연계해 회복을 돕는다.
마지막으로, 모든 환자에게 수술이 답은 아니다. 적절한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마비·대소변 장애 등 신경학적 악화가 의심되면 지체하지 말고 전문의 진료를 권한다. 척추 구조를 보존하면서 신경을 정밀하게 감압·안정화하는 것이 최소침습 수술의 핵심임을 기억하자.
(*이 칼럼은 신세계서울병원 척추내시경센터 김동욱 센터장의 기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