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경기의료원 의정부병원 3병동과 4병동은 보호자 없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으로 운영되고 있다./사진=오상훈 기자
“낙상이나 욕창을 막기 위해 수시로 병실을 돌지만, 5초 사이에도 사고가 날 수 있다. 그래도 최대한 막으려 애쓰고 있다.”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오순희 수간호사의 목소리에는 피로감보다 책임감이 묻어났다. 이곳 간호 인력들은 거동이 불편하거나 치매를 앓는 환자들이 대부분인 병동에서 24시간 ‘전인 간호’를 수행하고 있다. 공공병원이라 요양보호사가 따로 없어, 기저귀를 갈거나 식사를 돕는 일까지 모두 간호사들의 몫이다. 보호자가 상주하지 않아도 환자가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고군분투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간호 인력 부족해 경증 환자만 받는 반쪽자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간병 부담을 덜기 위해 입원 환자에게 보호자나 간병인 상주 없이 전문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다. 간병인 고용 비용이 하루 15만원에 이르는 등 국민들의 간병 부담이 높아지자 그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의료법상 거동이 불편하거나 질환의 중증도가 높은 입원 환자 등에게 우선 제공돼야 한다.

그러나 중증 환자 대신 경증 환자 중심으로 운영하는 병원이 많다. 열악한 인력 구조 탓에 중증 환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 건강돌봄시민행동이 지난 7월, 전국 상급종합병원과 지방의료원을 합쳐 총 82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중증환자가 통합병동 이용이 가능하지 문의한 결과, 조사에 응한 50개 기관 중 4곳(8%)만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하대하는 환자·떠나는 동료 볼 때가 고충
의정부병원의 통합서비스 병동은 경증·중증 구분 없이 환자를 받고 있다. 공공병원이기도 하고 환자 대부분이 저소득층이라 개인 간병인을 고용할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종일 누워서 지내는 와상 환자들이 대부분이다. 내과계인 3병동에는 흡인성 폐렴 환자가 많은데 기본적으로 치매를 앓고 있다. 외과계 4병동에는 수술이나 드레싱이 필요한 정형외과, 비뇨의학과 환자들이 주로 입원한다. 송미현 3병동 수간호사는 “요양원에 있다가 흡인성 폐렴으로 오는 환자가 많다”며 “환경이 바뀌면 불안도가 높아져서 며칠 동안 섬망이 나타나기도 한다”고 말했다.

각 병동은 36병상으로 간호사 한 명당 환자 10명, 간호조무사 한 명당 25명의 기준을 따라 운영된다. 한 병동에 한 명뿐인 보조 인력은 환자 이송이나 물품 운반을 전담하고 있어 환자의 식사 보조부터 기저귀 교체, 상처 드레싱 모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몫이다. 팔도 못 움직여 100% 음식을 떠먹여줘야 하는 환자도 병동 당 3~4명씩 있다.


하대하거나 폭력적인 언사를 서슴지 않는 환자들을 만날 때가 가장 힘들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오순희 수간호사는 “개인 간병인을 쓰는 곳이 아니라는 걸 알면서도 ‘왜 바로 안 오냐’고 화내는 환자들도 있다”라며 “갔을 때 리모콘을 가져다 달라거나 바닥에 떨어진 걸 주워 달라는 말을 들으면 사람인지라 화가 나곤 한다”고 말했다. 이어 “주취자도 종종 있고 심지어는 퇴원했는데도 병동에 올라와 행패를 부리는 환자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동료의 사직이다. 지난 월요일에 사직한 간호사도 섬망 환자랑 주취자 관리가 힘들어 사직했다고 한다. 이번 달을 끝으로 그만두는 간호사도 있고 신입 간호사가 적응을 못하고 일주일 만에 그만두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송 간호사는 “공공병원 재정이 어렵다 보니 인력 충원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라며 “간병 업무는 노하우가 많이 필요해 한 명이 빠지면 타격이 크다”고 말했다.

◇제도 자체를 모르는 환자들 많아
불평하는 환자만 있는 건 아니다. 사실 고마워하는 환자들이 훨씬 많다. 오 간호사는 “기저귀 한 번 갈아드리면 ‘고맙다’고 하는 환자도 있고, 미안해서 콜벨을 못 누르겠다는 분도 있다”며 “그 한마디면 또 힘이 난다”고 말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환자의 간병비 부담 효과가 확실하다. 올해 기준 종합병원 6인실의 본인 부담 입원료 1만5520원, 개인 간병인 고용 시 필요한 사적 간병비가 보통 1일 평균 14만 원으로 총 15만5520원이다. 반면, 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을 해주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사적 간병비 없이 입원료 2만6880원만 부담하면 돼 약 80%가량 저렴하다. 보호자나 간병인이 상주하지 않아 외부 감염으로부터 안전하며 환자 회복 속도도 빠르다.

그러나 환자들의 인식도는 낮은 편이다. 송 간호사는 “병원에서 홍보 캠페인을 하지만, 아직도 ‘그게 뭐예요?’ 하는 환자가 40%는 되는 것 같다”라며 “환자들에게는 정말 좋은 제도인데, 몰라서 이용을 못 하는 경우가 많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인력난 속에서도 간호 인력들이 고군분투하는 이유는 누군가는 돌봄의 사각지대를 채워야 해서다. 오 간호사는 “공공병원은 비급여 항목을 거의 못 쓰니까 같은 수술이라도 개인병원은 500만~700만 원이 나오지만, 우리는 150만 원 정도”라며 “저소득층, 독거노인, 보호자 없는 분들은 공공병원이 아니면 오기 어렵기 때문에 우리가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