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병원인 적십자병원이 의사 구인난으로 휴진을 반복하고 있다. 특히 지방의 경우 높은 금액의 연봉을 제시해도 채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24일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적십자병원 6곳 중 4곳의 일부 과목이 전문의 퇴사 및 구인난, 의료취약지 파견의사 진료 종료에 따라 휴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휴진 사유별로 보면 ‘전문의 퇴사 및 구인난’으로 서울적십자병원 피부과가 올해 8월 1일부터 한 달간 진료를 보지 못했다. 지방의 상황은 더욱 열악했다. 상주적십자병원 외과는 전문의 구인난으로 올해 3월 31일부터 휴진에 들어가 7월 10일까지 진료를 보지 못했다. 3차례의 공고 끝에 연봉을 3억2000만원으로 조정한 끝에 채용이 이뤄졌다. 지난해 8월 21일부터 휴진에 들어갔던 이비인후과도 올해 7월 21일에서야 3차례 공고 끝에 휴진이 해소됐다.
‘의료취약지 파견의사 진료 종료’에 따라 통영적십자병원 신경과는 올해 2월 14일부터 6월 21일까지 문을 닫았다. 거창적십자병원 정형외과는 올해 9월 1일부터 휴진 상태로 연봉 4억2000만원을 제시했으나 아직 채용이 이뤄지지 않았다. 거창은 지난해에도 ‘공보의 소집해제 및 구인난’으로 10차례 공고 끝에 영상의학과 의사를 5억원의 연봉으로 간신히 채용했다.
어렵게 의사를 채용해도 휴진 위험이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긴 어려운 상황이다. 퇴직률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8월 기준, 적십자병원 의사들의 퇴직률은 거창(30%), 인천(25%), 상주(23.8%) 순이었다. 지난해 적십자병원을 찾은 환자는 92만3908명에 달했다. 입원 환자 18만6362명, 외래 환자 73만7546명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24일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적십자병원 6곳 중 4곳의 일부 과목이 전문의 퇴사 및 구인난, 의료취약지 파견의사 진료 종료에 따라 휴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휴진 사유별로 보면 ‘전문의 퇴사 및 구인난’으로 서울적십자병원 피부과가 올해 8월 1일부터 한 달간 진료를 보지 못했다. 지방의 상황은 더욱 열악했다. 상주적십자병원 외과는 전문의 구인난으로 올해 3월 31일부터 휴진에 들어가 7월 10일까지 진료를 보지 못했다. 3차례의 공고 끝에 연봉을 3억2000만원으로 조정한 끝에 채용이 이뤄졌다. 지난해 8월 21일부터 휴진에 들어갔던 이비인후과도 올해 7월 21일에서야 3차례 공고 끝에 휴진이 해소됐다.
‘의료취약지 파견의사 진료 종료’에 따라 통영적십자병원 신경과는 올해 2월 14일부터 6월 21일까지 문을 닫았다. 거창적십자병원 정형외과는 올해 9월 1일부터 휴진 상태로 연봉 4억2000만원을 제시했으나 아직 채용이 이뤄지지 않았다. 거창은 지난해에도 ‘공보의 소집해제 및 구인난’으로 10차례 공고 끝에 영상의학과 의사를 5억원의 연봉으로 간신히 채용했다.
어렵게 의사를 채용해도 휴진 위험이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긴 어려운 상황이다. 퇴직률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8월 기준, 적십자병원 의사들의 퇴직률은 거창(30%), 인천(25%), 상주(23.8%) 순이었다. 지난해 적십자병원을 찾은 환자는 92만3908명에 달했다. 입원 환자 18만6362명, 외래 환자 73만7546명이다.
공공의료기관의 인력난이 반복되면서 취약계층이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희승 의원은 “특히 지방의 경우 결원 발생 시 고액의 연봉을 제시해도 의사를 구하기가 어렵다”라며 “지역거점공공병원 등 공공의료 부문의 안정적 인력 공급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으로서 공공의대 설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