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10대 시절 즐겨 듣던 노래가 성별에 따라 기억 속에 각인되는 시기가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10대 시절 즐겨 듣던 노래가 성별에 따라 기억 속에 각인되는 시기가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핀란드 위배스퀼래대 연구팀은 음악과 기억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전 세계 84개국 1891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인생의 노래’라고 생각하는 곡을 떠올리게 한 뒤, 그 노래가 발표된 연도와 자신이 처음 들었을 당시의 나이를 함께 기록하도록 했다. 이를 바탕으로 각 개인이 음악에 가장 강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한 시기를 계산하고, 연령대와 성별에 따라 음악 기억의 형성 시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했다.

그 결과, 음악과 감정적으로 가장 깊이 연결되는 시기는 전체적으로 평균 17세 무렵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평균 16세로 다소 빠른 시기에 정점을 보였으며, 이후 나이가 들어서도 10대 시절 노래에 대한 유대감이 꾸준히 유지됐다. 반면 여성은 평균 19세에 정점을 보였고, 나이가 들수록 최근에 발표된 노래에 더 큰 친밀감을 느끼는 ‘최근성 효과’가 뚜렷했다. 특히 중·장년층 여성일수록 이런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 음악과 감정의 연결이 생애 주기와 성별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는 점이 드러났다.


연구팀은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는 정체성과 감정이 빠르게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그때 접한 음악이 평생의 감정적 기준점으로 남는 경우가 많다”며 “남성과 여성의 음악적 기억 형성 시기가 다른 것은 사회문화적 경험 차이뿐 아니라 생리적 발달 시점과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참가자들이 스스로 의미 있는 노래를 선택하는 방식이라 문화적 편향이 있을 수 있고, 개별 국가 간의 차이를 정밀하게 반영하기는 어려웠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메모리(Memory)’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