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미국의 한 20대 남성이 약 29억 원 상당의 다이아몬드를 인공 눈(의안)에 삽입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지난 22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앨라배마주에서 보석상을 운영하는 남성 슬레이터 존스(23)는 17살 때 ‘톡소플라즈마증’에 감염돼 오른쪽 눈 시력을 점차 잃었다. 톡소플라즈마증은 톡소플라즈마 곤디라는 원충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주로 고양이 배설물이나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 전염된다. 건강한 사람은 대부분 무증상으로 지나가지만, 눈을 침범할 경우 시력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존스 역시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았으나 결국 눈을 제거해야 했다.
의안을 착용하게 된 존스는 보석상이라는 자신의 직업적 특성을 살려, 기존 인공 눈 대신 천연 다이아몬드를 삽입한 의안을 제작하기로 결심했다. 당초 3캐럿짜리 다이아몬드를 고려했으나 홍채 크기보다 커 2캐럿으로 조정했다. 제작 비용은 약 200만 달러(한화 약 28억 8000만 원)에 달했다.
제작은 32년 경력의 의안 전문가 존 임이 맡았다. 그는 “그동안 1만여 개의 인공 눈을 만들어왔지만 이렇게 값비싼 의안은 처음”이라며 “세상에서 가장 귀한 인공 눈”이라고 밝혔다.
존스는 “눈을 잃었지만 이 의안이 내 삶에 새로운 빛을 선사했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그는 현재 인스타그램 계정 ‘다이아몬드 아이’를 운영하며, 자신의 특별한 의안을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지난 22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앨라배마주에서 보석상을 운영하는 남성 슬레이터 존스(23)는 17살 때 ‘톡소플라즈마증’에 감염돼 오른쪽 눈 시력을 점차 잃었다. 톡소플라즈마증은 톡소플라즈마 곤디라는 원충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주로 고양이 배설물이나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 전염된다. 건강한 사람은 대부분 무증상으로 지나가지만, 눈을 침범할 경우 시력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존스 역시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았으나 결국 눈을 제거해야 했다.
의안을 착용하게 된 존스는 보석상이라는 자신의 직업적 특성을 살려, 기존 인공 눈 대신 천연 다이아몬드를 삽입한 의안을 제작하기로 결심했다. 당초 3캐럿짜리 다이아몬드를 고려했으나 홍채 크기보다 커 2캐럿으로 조정했다. 제작 비용은 약 200만 달러(한화 약 28억 8000만 원)에 달했다.
제작은 32년 경력의 의안 전문가 존 임이 맡았다. 그는 “그동안 1만여 개의 인공 눈을 만들어왔지만 이렇게 값비싼 의안은 처음”이라며 “세상에서 가장 귀한 인공 눈”이라고 밝혔다.
존스는 “눈을 잃었지만 이 의안이 내 삶에 새로운 빛을 선사했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그는 현재 인스타그램 계정 ‘다이아몬드 아이’를 운영하며, 자신의 특별한 의안을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누리꾼들은 “지금까지 본 의안 중 가장 멋지다” “예술 작품 같다”는 반응을 보이는 한편, “누군가 이 눈을 노리지 않을까” “밖에 나갈 때마다 조심해야 할 것 같다”며 우려하기도 했다.
한편, 톡소플라즈마증은 감염자의 약 90%가 무증상이지만,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면역저하자나 후천성면역결핍증 환자에게는 뇌염, 시력 손상 등 중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존스처럼 눈에 감염되면 시야 흐림, 통증, 비문증(눈앞에 떠다니는 점) 등이 생기며, 심하면 실명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폐를 침범하면 호흡곤란·발열·마른기침이 동반되며, 호흡 부전을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임신 중 감염될 경우 태아에게 수직 전파될 위험이 50% 안팎으로, 선천성 톡소플라즈마증을 유발할 수 있다. 감염된 영아는 뇌수종, 시각장애, 발달 지연 등을 겪을 수 있어 임산부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톡소플라즈마는 감염된 고양이의 대변, 덜 익은 육류, 오염된 흙 등을 통해 전파된다. 진단은 혈액 내 항체 검사로 확인하며, 뇌 침범이 의심될 경우 CT나 MRI 검사를 시행한다. 증상이 경미하면 자연 회복되지만, 중증일 경우 항생제나 항말라리아제를 병용해 치료한다. 면역력이 약한 환자는 재활성화를 막기 위해 장기 복용이 필요할 수 있다.
여울동물병원 이영호 원장은 “고양이의 톡소플라즈마 감염은 구충제로는 예방이 되지 않는다”며 “야외 외출을 제한하고, 생고기 급여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고양이 배설물을 치울 때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하고, 이후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며 “정기적으로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했다. 감염된 고양이는 항원충제로 치료할 수 있다. 사람 역시 날고기 섭취를 피하고, 조리 도구를 청결히 유지해야 한다. 특히 임산부는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권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