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비만약 '위고비' 출시 이후 익숙해진 호르몬이 있다. GLP-1이다. 이 호르몬은 음식물을 먹으면 장에서 분비돼 췌장을 자극해 인슐린이 나오도록 하고, 뇌의 포만중추를 건드려 뇌가 '그만 먹으라'는 신호를 몸에게 보내도록 돕는다. GLP-1 호르몬이 제대로 분비돼야 체중 관리가 수월해진다.

GLP-1은 식이섬유나 EPA(에이코사펜타엔산) 같은 특정 영양소를 섭취했을 때 많이 분비된다. 식이섬유는 위·장을 많이 팽창시키기 때문에 이를 촉진시킨다. 고등어 같은 등푸른 생선을 먹거나 식사 후 커피를 마셔도 비슷한 효과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상 속에서 GLP-1 호르몬을 잘 분비되게 하는 사소한 습관들을 알아두자.

등푸른 생선 섭취=고등어·연어·꽁치 같은 등푸른 생선을 먹으면 GLP-1 분비가 늘어난다. 등푸른 생선에는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인 EPA·DHA(도코사헥사노엔산)가 다량 함유돼 있는데, 이 물질이 GLP-1​ 분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쥐에게 EPA·DHA를 주입했더니 장의 엘(L)세포가 자극돼 GLP-1​이 많이 분비됐다는 일본 호시대학의 연구 결과가 있다. 등푸른 생선을 1주일에 2~3회 먹으면 EPA를 포함한 불포화지방산의 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있다.


천천히 먹고 30회 씹기=식사를 할 때 천천히 많이 씹어 먹으면 GLP-1​이 잘 나온다. 입에 음식을 한 입 넣고 30회 씹으면 5회 씹을 때보다 몸속 GLP-1​ 수치가 1.5배 높았다는 일본 오우대학 연구 결과가 있다. 똑같은 양의 아이스크림을 30분 동안 먹은 사람이 5분 동안 먹은 사람보다 식후의 몸속 GLP-1​ 수치가 높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식후에 커피 마시기=커피가 GLP-1​ 호르몬의 분비를 돕는다는 미국 뉴트리가드 연구소 연구 결과가 있다. 커피 속에 들어 있는 클로로겐산이라는 물질이 장에서 당의 흡수 속도를 저하시켜서, 당이 흡수되는 동안 GLP-1​ 호르몬이 분비되도록 만든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