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목둘레가 단순한 신체 치수를 넘어 심장질환, 대사질환, 조기 사망 위험과 연관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보스턴대 연구팀은 '프레이밍햄 심장연구' 참가자 4093명을 11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남성 목둘레가 17인치(약 43㎝) 이상, 여성은 14인치(약 36㎝) 이상일 경우 심방세동 발병 위험이 커졌다. 심방세동은 심방이 불규칙하게 뛰면서 혈류가 원활히 흐르지 못하는 질환으로 두근거림, 피로, 어지럼증 등을 유발한다. 장기적으로는 뇌졸중이나 심부전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사망 위험이 일반인보다 최대 4배 높다고 알려져 있다.

BMI, 허리둘레, 체중 등 기존 체격 지표를 보정한 뒤에도 목둘레와 심방세동 위험 사이의 상관관계가 유지됐다. 이에 따라 목둘레가 심장질환의 독립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상체 지방은 혈중 유리지방산 수치를 높이고 인슐린 저항성과 이상지질혈증을 촉발해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다"며 "목둘레가 굵은 사람은 상체 지방량이 많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걸릴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심방세동과 관련된 심장 부담도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The Conversation’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