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마가린, 베이커리 제품, 스프레드 등에 널리 쓰이는 ‘가공 경화 지방’이 적정량만 섭취하면 심장 건강에 해롭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마가린, 베이커리 제품, 스프레드 등에 널리 쓰이는 ‘가공 경화 지방’이 적정량만 섭취하면 심장 건강에 해롭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킹스칼리지런던·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대 연구팀이 성인 47명을 대상으로 가공 경화 지방이 심장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6주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에서 분석한 지방 종류는 팜유에서 추출한 팔미트산, 식물성 지방에서 추출한 스테아르산이다. 참여자들은 무작위로 팔미트산 혹은 스테아르산이 풍부한 지방으로 만든 머핀과 스프레드를 섭취했고 섭취한 지방은 총 열량의 10%였다. 연구팀은 참여자들의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인슐린 민감성, 간 지방, 염증 및 혈관 기능을 포함한 심장대사 건강 지표를 평가했다. 

분석 결과, 두 그룹에서 심혈관질환 위험 지표인 총 콜레스테롤 대 HDL콜레스테롤 비율, 중성지방 수치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염증, 인슐린 저항성, 간 지방, 혈관 기능 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사라 베리 교수는 “모든 가공식품이 나쁘다는 시각이 오랫동안 만연해 마가린, 제과류 등이 건강하지 않다고 여겨져 왔지만 모든 가공식품이 나쁘지만은 않다”며 “가공 경화 지방을 만드는 에스테르화 공정은 유해한 트랜스지방을 대체해 식품 포화지방 함량을 줄일 수 있는 방식이다”라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웬디 홀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일상 전반에 활발하게 사용되는 가공 지방인 팔미트산이나 스테아르산을 식단에서 적정량만 섭취했을 때 심혈관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며 “콜레스테롤 수치 등 심혈관질환 위험 요인 변화를 6주간 충분히 확인했으나 장기적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영양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