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찬 바람이 불면서 감기에 걸리는 이들이 늘고 있다. 비염이 심해지거나 세균·바이러스에 감염돼 염증이 생기면서 가래가 끼곤 하는데, 가래로 목이 불편할 때 시도해볼 방법을 소개한다.

물 마시기=물을 마신다고 가래가 물에 쓸려 내려가는 건 아니다. 입으로 들어온 물은 식도를 거쳐 위로 들어가는데, 가래는 기도로 올라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래는 당단백질, 세포 사체, 농양 등 이물질에 수분이 더해져 구성된다. 물을 많이 마시면 가래에서 수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져 점도가 낮아진다. 덜 끈적거려서 기침으로 배출하기 쉬워진다.

코 따뜻하게 하기=​만약 축농증이나 알레르기로 가래가 생겼다면 수건을 뜨거운 물에 적신 뒤 코에 대고 있자. 코를 따뜻하게 하면 코에서 분비되는 점액질의 양이 준다. 또 코점막의 부기가 가라앉아 목과 코에 공기가 잘 통하게 된다. 통로가 넓어지고 가래의 양이 주니 배출하기가 쉬워진다.


습도 조절하기=실내 습도를 40~50%, 온도를 21~23도로 조절하는 게 좋다. 주변 환경이 건조해 콧속이나 기관지 점막이 마르면 기침해도 가래가 잘 나오지 않는다. 호흡기 점막이 마르면 기관지의 미세한 털인 섬모의 활동이 둔화돼, 아래에 있는 가래가 위로 잘 밀려나지 않는다.

거담제 복용하기=이러한 노력으로도 소용이 없다면 거담제(가래약)을 복용할 수 있다. 거담제에는 가래를 묽게 하고, 섬모가 외부 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르도록 해 체내에 가래 구성 물질이 쌓이는 걸 막는 성분이 들었다. 가래 때문에 기침을 많이 하는 사람도 진해제(기침약)보단 거담제가 좋다. 진해제는 기관지가 이물질을 배출하려 반사적으로 기침하는 걸 억제하는 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