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뇌가 스트레스, 불안 완화 목적으로 음주에 의존해 금주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그래픽=헬스조선DB
건강을 생각하면 지금부터라도 술을 끊어야겠다는 결심이 든다. 그런데 마음처럼 실천은 쉽지 않다. 또 술을 마시고 다음날 숙취로 고생하며 금주 다짐을 반복하기 일쑤다. 왜 그런 걸까?

최근 ‘생물학 정신의학(Biological Psychiatry: Global Open Science)’에 게재된 연구에 의하면, 뇌가 스트레스와 불안을 완화하는 방법으로 음주에 의존하도록 변화했기 때문이다. 비단 쾌락이나 의지력 문제가 아닌 뇌 기능 변화가 원인이라는 의미다.

연구팀은 알코올 중독을 유발하는 뇌 생물학적 매커니즘을 분석했다. 뇌 전체를 스캔해 분석한 결과, 알코올 섭취 초기에는 뇌가 알코올을 즐거움과 연관시켜 더 많은 알코올을 찾게 만들었다. 그러다 알코올 섭취가 반복되며 중독 단계에 이르면 뇌가 알코올을 더 이상 즐거움이 아닌 불쾌한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했다. 다시 말해, 쾌락보다 스트레스, 불안 등 고통을 덜기 위한 목적으로 알코올을 찾는 것이다. 이런 변화는 정서 조절 기능을 하는 뇌 부위인 시상 중격핵에서 나타났다.


연구를 주도한 프리드버트 와이드 교수는 “알코올을 끊기 어려운 것은 의지 문제를 넘어 생물학적 학습 반응일 수 있다”며 “금단의 고통을 피하려는 뇌 반응 회로를 토대로 새로운 중독 치료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적정 음주량이라는 것은 없다. 한 잔의 술도 건강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안 마시는 게 가장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