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임대 아파트나 자가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자가 아파트 거주자보다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쿄과학연구소 와타루 우미시오 교수팀, 도쿄과학연구소 의치학대학원, 하마마쓰의대, 지바대 공동 연구팀은 일본에 거주하는 평균 73.6세 3만8731명을 6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자가 아파트 거주자보다 임대 아파트에 살거나 자가 단독주택에 사는 이들의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팀은 ‘불안정한 실내 온도’와 ‘단열 수준’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단독주택은 외기가 직접 닿는 면적이 넓어 내부 온도가 쉽게 떨어질 수도 있고 상대적으로 온도 변화가 많다는 것이다. 임대주택도 단열이 취약한 곳이 많다. 이에 비해 아파트는 옆집과 위·아래층에 둘러싸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안정적이다. 일본 전국 통계에 따르면, 임대주택 중 이중창을 갖춘 비율은 15%에 그쳤다. 반면 자가 주택이 이중창을 갖춘 비율은 38%였다.


연구팀은 “실내 온도가 너무 낮으면 혈압을 높여 ‘조용한 위험 요인’인 심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며 “실내 온도를 WHO(세계보건기구) 권고치인 섭씨 18도 이상으로 유지하고, 단열을 강화하면 노년층의 심혈관 질환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는 2018년 발표한 주거와 건강 지침에서 “추운 집에 살수록 뇌졸중이나 심장병이 흔하다”고 경고한 바 있다. 실내 온도가 낮으면 혈압이 오르고, 혈압 변동 폭도 커져 심혈관 질환에 걸릴 위험도 그만큼 커진다.

이 연구 결과는 ‘BMJ Public Health’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