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김석환 더원서울안과 원장​
나이가 들면 시력이 점차 흐려지거나 눈이 피로해지는 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특히 50대 이후 중장년층에서는 안개가 낀 듯 흐릿해지는 시야나 빛 번짐 현상으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증상은 단순 노안으로 오해되기 쉽지만, 실제로는 대표적인 노인성 안질환인 '백내장'일 가능성이 높다.

백내장은 눈 안의 수정체가 혼탁해져 빛이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면서 시야가 뿌옇게 변하는 질환이다. 초기에는 밝은 곳에서 눈이 부시거나, 야간 운전 시 불빛이 퍼져 보이는 등의 증상으로 시작되며 점차 시력이 감소하게 된다. 방치할 경우 실명에 이를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백내장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인공 수정체(IOL)를 삽입하는 수술이다. 최근에는 기술 발전으로 수술 방식이 정교해지고 회복 속도도 빨라졌으며,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통해 노안 교정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백내장 수술은 단순히 시력을 되찾는 것을 넘어 보다 질 높은 삶을 위한 선택지로 인식되고 있다.

다만 수술 전에는 개인의 눈 상태와 생활 패턴에 맞춘 정밀한 진단이 필요하다. 특히 과거에 다른 안질환 병력이 있거나 당뇨, 고혈압 등 전신 질환을 가진 경우에는 수술 전 충분한 상담과 검사 과정을 거쳐야 한다. 백내장 수술이 일반적으로 안전한 수술이긴 하지만, 환자의 눈 상태에 따라 수술 방법과 인공 수정체 종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백내장 수술 후에는 일정 기간 동안 안약 점안과 함께 눈을 보호하는 생활 습관이 중요하다. 세수나 머리 감기, 운동 등 일상 활동의 재개 시점도 의료진의 안내에 따라 점진적으로 조절해야 한다. 또한 수술 부위에 염증이나 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생 관리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백내장은 자연스러운 노화의 일부로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 적절한 시기에 진단받고 수술을 통해 시력을 회복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시야가 뿌옇거나 빛이 퍼져 보이는 증상이 있다면 단순한 노안으로 넘기지 말고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내장은 늦추거나 피할 수 없는 변화이지만, 적극적인 대처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백내장 수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환자 개개인의 눈 상태에 맞춘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지고 있는 만큼, 보다 많은 이들이 빠르게 불편함을 해소하고 활력 있는 일상을 되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칼럼은 더원서울안과 김석환 원장​의 기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