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의점 도시락과 삼각김밥에 생각보다 훨씬 많은 나트륨이 들어있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화여자대 식품영양학과 오지은 교수팀은 10~39세 627명을 대상으로 식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과 인식 연구를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국내 주요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도시락 제품의 평균 나트륨 함량은 1361mg이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하루 나트륨 섭취량 2000mg의 약 68% 수준이며, 한국영양학회가 제시한 국내 성인 1일 나트륨 권장량인 1600mg 기준으론 약 85%에 해당한다. 특히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은 한 끼만으로 1700mg 이상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루 기준치에 거의 근접하는 수준이었다.
도시락뿐 아니라 청년층이 편의점에서 자주 찾는 삼각김밥과 주먹밥도 나트륨 과잉 섭취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한국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삼각김밥 한 개의 평균 나트륨 함량은 한 끼 나트륨 섭취 권장량(약 500~550mg)의 50% 이상에 달했다. 이는 삼각김밥 한 개만으로도 상당한 양의 나트륨을 섭취한다는 의미다.
소비자의 인식과 실제 선택 행동 간의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자의 80%가 “저나트륨 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지만, 실제 시중에서 판매되는 저나트륨 도시락 제품은 전체의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건강 도시락’이라는 문구가 붙은 제품을 더 자주 구매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영양 성분을 비교하면 일반 제품과 나트륨, 포화지방 함량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편의점이 청년층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단순한 편의성 제공을 넘어 건강까지 고려한 제품 선택이 필요하다”며 “특히 삼각김밥, 주먹밥과 같은 대표 간편식을 저염화하는 것이 소비자의 건강을 지키는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한국영양학회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가 공동 출간하는 영문 학술지(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최근호에 실렸으며,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서 소개했다.
이화여자대 식품영양학과 오지은 교수팀은 10~39세 627명을 대상으로 식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과 인식 연구를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국내 주요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도시락 제품의 평균 나트륨 함량은 1361mg이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하루 나트륨 섭취량 2000mg의 약 68% 수준이며, 한국영양학회가 제시한 국내 성인 1일 나트륨 권장량인 1600mg 기준으론 약 85%에 해당한다. 특히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은 한 끼만으로 1700mg 이상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루 기준치에 거의 근접하는 수준이었다.
도시락뿐 아니라 청년층이 편의점에서 자주 찾는 삼각김밥과 주먹밥도 나트륨 과잉 섭취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한국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삼각김밥 한 개의 평균 나트륨 함량은 한 끼 나트륨 섭취 권장량(약 500~550mg)의 50% 이상에 달했다. 이는 삼각김밥 한 개만으로도 상당한 양의 나트륨을 섭취한다는 의미다.
소비자의 인식과 실제 선택 행동 간의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자의 80%가 “저나트륨 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지만, 실제 시중에서 판매되는 저나트륨 도시락 제품은 전체의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건강 도시락’이라는 문구가 붙은 제품을 더 자주 구매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영양 성분을 비교하면 일반 제품과 나트륨, 포화지방 함량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편의점이 청년층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단순한 편의성 제공을 넘어 건강까지 고려한 제품 선택이 필요하다”며 “특히 삼각김밥, 주먹밥과 같은 대표 간편식을 저염화하는 것이 소비자의 건강을 지키는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한국영양학회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가 공동 출간하는 영문 학술지(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최근호에 실렸으며,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서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