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이미지
국소 스테로이드 금단증으로 얼굴 전체 피부가 벗겨지고 진물이 날 때의 모습(왼쪽)과 치료로 상당히 회복된 모습(오른쪽)./사진=더선
20대 영국 남성이 치료를 위해 오래 바르던 크림을 끊고 나서 피부가 벗겨지고 진물이 나는 등의 끔찍한 부작용을 겪었다가 가까스로 회복 중인 사례가 공개됐다.

영국 웨스트미들랜드에 거주하는 25세 남성 조지는 아기였을 때 머리부터 발끝까지 습진이 발생해 스테로이드 크림을 처방받았다. 이후로 성인이 될 때까지 매일 스테로이드 크림을 사용했다.

조지는 “스테로이드 크림을 거의 매일 머리부터 발끝까지 발랐다”며 “하루라도 안 바르면 피부가 벗겨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15세에 휴가를 갔을 때 크림 챙기는 걸 잊어버렸다가, 피부가 벗겨지는 증상을 처음 겪고 금단 부작용에 대해 알게 됐다.

조지는 성인이 된 후 부작용을 겪더라도 스테로이드 크림을 끊어야겠다고 마음 먹었다. 하지만 크림을 끊자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극심한 금단 증상이 나타났다. 

조지는 “피부가 타는 듯했고 매일 벗겨져 나갔으며, 체중이 감소하고, 머리카은 물론이고 눈썹, 수염까지 빠졌다”며 “이로 인해 공황 발작까지 겪었다”고 했다. 그는 “크림을 사용하지 않으면 피부가 세균(박테리아)을 스스로 죽이지 못하고 치유하지 못해서 생기는 증상”이라며 “문제는 25년간 피부과를 다녔는데 의사가 이 크림을 계속 처방했고 용량을 갈수록 늘렸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영국에서 의약품 관리감독을 하고 있는 정부 기관 ‘MHRA(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는 국소 스테로이드 크림을 올바르게 사용하면 습진 치료에 효과가 있지만,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발적, 화상, 피부 변화 등 심각한 금단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다만, 국소 스테로이드 금단증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건 2024년. MHRA는 작년에 국소 스테로이드 효능 정보가 라벨에 표시돼야 하고, 처방자는 얼마나 많은 제품을 적용해야 하는지, 얼마나 자주 적용해야 하는지, 언제 치료를 중단해야 하는지에 대해 더 나은 조언을 제공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지는 현재 태국에서 CAP(Cold Atmospheric Plasma) 치료를 받고 있다. CAP 치료는 이온화된 가스를 사용해 박테리아를 죽이고 염증을 완화하며 세포 복구를 촉진해 피부 재생을 돕는 원리다. 지금껏 19회 치료를 받으며 상당히 회복됐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밝혔다. 그는 “피부 반점이 여전히 남아 있고, 물이 산성처럼 느껴져서 식염수로만 씻을 수 있다”며 “콘도 밖을 나가는 건 치료를 받으러 갈 때뿐”이라고 했다. 이어 “적지 않은 의사가 스테로이드 크림 장기 사용시 문제점을 제대로 알지 못 한다”며 “더 많은 연구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력한 항염증 약물인 스테로이드제는 세포 분열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피부질환 치료에 흔히 사용된다. 장기간 과하게 사용한 뒤 갑자기 사용을 중단하면 피부가 화끈거리고 붉어지며 가려운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각질이 생겨 피부가 벗겨지고 진물이 흐르기도 한다. 피부의 면역 기능이 떨어져 감염에 취약해지기 때문이다.

국소 스테로이드 금단증을 예방하려면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기 전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해야 한다. 되도록 적은 양을 사용하는 게 좋다. 또 온몸에 바르면 안 된다. 염증이 발생한 부위에 흡수될 정도로만 소량 바른다. 정해진 횟수만큼만 발라 남용을 피하는 것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