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사진 출처 = 연합뉴스DB
화이자에 이어 아스트라제네카도 미국 내 의약품 가격을 전면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인상 압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아스트라제네카가 모든 처방약을 메디케이드(저소득층 공공의료보험)에 최혜국 대우 가격, 즉 세계 최저 가격으로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이번 합의에 따라 아스트라제네카는 트럼프 대통령이 만든 의약품 구매 사이트 ‘트럼프Rx’를 통해 의약품을 정가 대비 최대 8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 5년간 미국 내 의약품 생산과 연구·개발을 위해 500억달러(한화 약 71조3600억원)를 투자한다. 그 대가로 미국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의약품에 3년간 관세를 면제한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이미 지난 7월 500억달러 규모 투자 계획을 밝혔다. 버지니아를 시작으로 여러 지역에 신약 생산 시설을 확대할 예정이다. 당시 아스트라제네카 파스칼소리오 CEO는 “이번 투자로 2030년까지 800억달러(한화 약 114조2080억원) 매출을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대형 글로벌 제약사가 미국 내 의약품 가격을 낮춘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화이자 또한 지난달 30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트럼프Rx를 통해 의약품을 최대 85%, 평균 5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고 발표했다. 마찬가지로 화이자도 미국 내 의약품 제조 시설에 700억달러(한화 약 99조932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화이자와의 협의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10월부터 적용 예정이었던 ‘의약품 100% 관세 부과’를 일시적으로 보류했다. 미국 정부는 화이자에 3년간 의약품 관세를 면제할 예정이다.

제약사들의 이 같은 투자·약가 인하 기조는 미국 정부의 관세 압박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7월 트럼프 대통령은 화이자·아스트라제네카를 포함한 17개 제약사에게 미국 내 약가 인하를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두 제약사를 시작으로 남은 제약사와도 협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