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DHD, 우울증 등으로 정신병원에 입원하는 청소년들이 급증해 국내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에 빨간불이 들어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이 보건복지부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정신병원 아동·청소년 입원 사유’등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신병원에 입원한 만 19세 미만 환자가 2020년 1076명에서 2024년 2129명으로 약 두 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DHD 등 행동문제로 인한 입원은 2020년 266명에서 2024년 668명으로, 우울·불안 등 정서문제로 인한 입원은 같은 기간 514명에서 963명으로 늘어났다.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가 약물치료 단계를 넘어 입원치료가 필요한 단계로 심화하고 있는 셈이다.
정신질환 관련 약물 처방 건수 역시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아동·청소년 정신과 약물 처방 현황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4년 반 동안 아동·청소년 정신과 약물 처방 환자 수가 총 220만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방 약물은 연령대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청소년 여학생(13~17세)에서는 우울·불안 관련 약물 처방이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했다. 여학생의 항우울제 처방 인원은 2021년 3만3864명에서 2024년 5만9282명으로 75% 늘었으며, 항불안제 처방도 4만5899명에서 5만6622명으로 23% 증가했다.
유아기(0~6세)에서는 항정신병약·항우울제 처방이 빠르게 늘고 있어 아동정신건강 관리 부재 문제가 심각하다. 항정신병약 환자는 남아가 4822명에서 8,428명으로 1.75배로, 여아는 1205명에서 2,249명으로 1.9배로 증가했다.
초등학생(7~12세) 역시 항정신병약·항우울제 처방 환자가 각각 3만2000여 명에서 6만6000여 명, 1만8000여 명에서 3만8000여 명으로 모두 두 배 이상 증가했다.
4년 새 아동·청소년 정신과 환자와 약물 처방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서영석 의원은 “초등학생에서 우울증 진료가 폭증하고, 여성 청소년기 아이들에게 우울 불안이 집중되는 현상은 발달 단계에 맞는 심리 상담 지원이 부족한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아이들이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상담·심리치료보다 약물에 먼저 의존하는 구조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복지부는 아동정신건강 관리체계를 전면 재점검하고, 조기개입과 심리치료를 위한 학교·지역사회 연계 중심의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이 보건복지부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정신병원 아동·청소년 입원 사유’등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신병원에 입원한 만 19세 미만 환자가 2020년 1076명에서 2024년 2129명으로 약 두 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DHD 등 행동문제로 인한 입원은 2020년 266명에서 2024년 668명으로, 우울·불안 등 정서문제로 인한 입원은 같은 기간 514명에서 963명으로 늘어났다.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가 약물치료 단계를 넘어 입원치료가 필요한 단계로 심화하고 있는 셈이다.
정신질환 관련 약물 처방 건수 역시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아동·청소년 정신과 약물 처방 현황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4년 반 동안 아동·청소년 정신과 약물 처방 환자 수가 총 220만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방 약물은 연령대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청소년 여학생(13~17세)에서는 우울·불안 관련 약물 처방이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했다. 여학생의 항우울제 처방 인원은 2021년 3만3864명에서 2024년 5만9282명으로 75% 늘었으며, 항불안제 처방도 4만5899명에서 5만6622명으로 23% 증가했다.
유아기(0~6세)에서는 항정신병약·항우울제 처방이 빠르게 늘고 있어 아동정신건강 관리 부재 문제가 심각하다. 항정신병약 환자는 남아가 4822명에서 8,428명으로 1.75배로, 여아는 1205명에서 2,249명으로 1.9배로 증가했다.
초등학생(7~12세) 역시 항정신병약·항우울제 처방 환자가 각각 3만2000여 명에서 6만6000여 명, 1만8000여 명에서 3만8000여 명으로 모두 두 배 이상 증가했다.
4년 새 아동·청소년 정신과 환자와 약물 처방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서영석 의원은 “초등학생에서 우울증 진료가 폭증하고, 여성 청소년기 아이들에게 우울 불안이 집중되는 현상은 발달 단계에 맞는 심리 상담 지원이 부족한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아이들이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상담·심리치료보다 약물에 먼저 의존하는 구조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복지부는 아동정신건강 관리체계를 전면 재점검하고, 조기개입과 심리치료를 위한 학교·지역사회 연계 중심의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