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잘라둔 아보카도가 갈색으로 변했다고 버릴 필요 없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지난 6일(현지 시각) 미국 과학매체 라이브사이언스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대 아열대 작물 전문가 매튜 파티노는 “아보카도가 갈색으로 변해도 대체로 1~2일 안에는 먹어도 안전하다”고 말했다.
아보카도의 색이 변하는 이유는 ‘산화’ 때문이다. 과육이 공기 중 산소와 닿으면 세포 내 효소가 반응해 멜라닌 색소가 생성되고, 이로 인해 겉면이 갈색으로 변한다. 시간이 지나 산화가 진행되면, 과육의 지방이 변질돼 비누 맛이나 쓴맛이 나는 화합물로 변하기 시작한다. 파티노는 “그럴 경우 먹어도 병이 나진 않지만, 풍미는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겉이 살짝 갈색으로 변한 정도라면 표면만 제거해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다. 미국 영양사 사라 알싱은 “갈변된 부분만 걷어내면 아래쪽 녹색 과육은 그대로 먹을 수 있다”며 “약간의 쓴맛은 레몬즙, 소금, 고추를 섞으면 감출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아보카도에서 신 냄새가 나거나 미끈거리는 촉감이 느껴진다면 버려야 한다. 이런 경우에는 부패가 진행된 상태로, 섭취 시 복통이나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갈변을 늦추는 간단한 보관법도 제시했다. 씨를 그대로 둔 채 밀폐 용기에 보관하거나 랩으로 단단히 감싸면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해 녹색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또 레몬이나 라임즙을 뿌리면 구연산이 산화를 억제해 색 변화를 늦춘다.
보관 온도 역시 중요하다. 파티노는 “아보카도는 열대성 작물이어서 추위와 더위 모두에 민감하다”며 “기온이 약간만 떨어져도 나무가 손상돼 다음 해 수확이 줄고, 반대로 너무 더우면 열매를 떨어뜨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실내에서는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곳에 두고, 자른 아보카도는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다만 냉장고 온도가 너무 낮으면 과육이 손상돼 맛과 질감이 떨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지난 6일(현지 시각) 미국 과학매체 라이브사이언스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대 아열대 작물 전문가 매튜 파티노는 “아보카도가 갈색으로 변해도 대체로 1~2일 안에는 먹어도 안전하다”고 말했다.
아보카도의 색이 변하는 이유는 ‘산화’ 때문이다. 과육이 공기 중 산소와 닿으면 세포 내 효소가 반응해 멜라닌 색소가 생성되고, 이로 인해 겉면이 갈색으로 변한다. 시간이 지나 산화가 진행되면, 과육의 지방이 변질돼 비누 맛이나 쓴맛이 나는 화합물로 변하기 시작한다. 파티노는 “그럴 경우 먹어도 병이 나진 않지만, 풍미는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겉이 살짝 갈색으로 변한 정도라면 표면만 제거해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다. 미국 영양사 사라 알싱은 “갈변된 부분만 걷어내면 아래쪽 녹색 과육은 그대로 먹을 수 있다”며 “약간의 쓴맛은 레몬즙, 소금, 고추를 섞으면 감출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아보카도에서 신 냄새가 나거나 미끈거리는 촉감이 느껴진다면 버려야 한다. 이런 경우에는 부패가 진행된 상태로, 섭취 시 복통이나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갈변을 늦추는 간단한 보관법도 제시했다. 씨를 그대로 둔 채 밀폐 용기에 보관하거나 랩으로 단단히 감싸면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해 녹색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또 레몬이나 라임즙을 뿌리면 구연산이 산화를 억제해 색 변화를 늦춘다.
보관 온도 역시 중요하다. 파티노는 “아보카도는 열대성 작물이어서 추위와 더위 모두에 민감하다”며 “기온이 약간만 떨어져도 나무가 손상돼 다음 해 수확이 줄고, 반대로 너무 더우면 열매를 떨어뜨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실내에서는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곳에 두고, 자른 아보카도는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다만 냉장고 온도가 너무 낮으면 과육이 손상돼 맛과 질감이 떨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