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산후조리원 요금 차이 33.5배

전국에서 가장 비싼 산후조리원은 2주 이용 기준 402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2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용은 전국 최고가 4020만 원, 최저가 120만 원으로 이용 요금이 33.5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2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용은 전국 최고가 4020만 원, 최저가 120만 원으로 이용 요금이 33.5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2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 산후조리 통계’에 따르면, 산모들이 정부에 가장 많이 요구한 정책은 ‘산후조리 관련 비용 지원’(60.1%)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후조리원을 선택할 때 ‘집이나 병원과의 거리’(59.1%)를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았으며, 이어 ‘가격 대비 시설이나 프로그램 수준’(32.5%), ‘가격이 저렴한 곳’(19.9%) 순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결과는 산후조리비 부담이 여전히 출산 이후 가장 큰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 같은 자료에 따르면 산모 10명 중 8명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만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2021년 하반기 519개소에서 2024년 하반기 460개소로 감소했고, 일반실 평균 이용요금은 같은 기간 232만 원에서 355만 원으로 100만 원 넘게 상승했다.
시설 수는 줄고 비용은 오르면서 산모들이 경제적 여건에 따라 적절한 산후조리시설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점점 제한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남인순 의원은 “올해 6월 기준 공공산후조리원의 일반실 평균 이용 금액은 약 174만 원으로 민간대비 절반 수준이지만, 전국에 설치된 공공산후조리원은 21개소에 불과해 이용 접근성이 매우 낮다”며 “공공산후조리원 확대 설치를 통해 산모들이 더욱 합리적인 비용으로 만족도 높은 산후조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021년 남인순 의원이 대표발의한 ‘모자보건법 개정안’ 시행 이후, 공공산후조리원의 설치·운영 근거가 마련돼 밀양·김천·상주·순천·화천·양양·포천·서대문 등 8곳이 새롭게 문을 열었다. 2021년 13개소였던 공공산후조리원이 2025년 21개소로 늘어난 것은 의미 있는 변화지만, 여전히 전체 산후조리원 중 공공산후조리원 비율은 5%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남 의원은 “공공산후조리원은 민간 대비 절반 수준의 비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출산 비용 불평등을 완화하고 저출생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하여 공공산후조리원 확충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결과는 산후조리비 부담이 여전히 출산 이후 가장 큰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 같은 자료에 따르면 산모 10명 중 8명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만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2021년 하반기 519개소에서 2024년 하반기 460개소로 감소했고, 일반실 평균 이용요금은 같은 기간 232만 원에서 355만 원으로 100만 원 넘게 상승했다.
시설 수는 줄고 비용은 오르면서 산모들이 경제적 여건에 따라 적절한 산후조리시설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점점 제한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남인순 의원은 “올해 6월 기준 공공산후조리원의 일반실 평균 이용 금액은 약 174만 원으로 민간대비 절반 수준이지만, 전국에 설치된 공공산후조리원은 21개소에 불과해 이용 접근성이 매우 낮다”며 “공공산후조리원 확대 설치를 통해 산모들이 더욱 합리적인 비용으로 만족도 높은 산후조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021년 남인순 의원이 대표발의한 ‘모자보건법 개정안’ 시행 이후, 공공산후조리원의 설치·운영 근거가 마련돼 밀양·김천·상주·순천·화천·양양·포천·서대문 등 8곳이 새롭게 문을 열었다. 2021년 13개소였던 공공산후조리원이 2025년 21개소로 늘어난 것은 의미 있는 변화지만, 여전히 전체 산후조리원 중 공공산후조리원 비율은 5%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남 의원은 “공공산후조리원은 민간 대비 절반 수준의 비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출산 비용 불평등을 완화하고 저출생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하여 공공산후조리원 확충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