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대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자 연령대별 현황’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60대 이상 보이스피싱 피해자 수는 5131명으로 전체 연령대에서 30.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16%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규모다.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60대 이상에선 여전한 모양새다.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2020년도 3만여 건에서 2023년 1만8000여 건, 2024년 2만여 건으로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60대 이상 피해 건수는 5000여 건을 유지하고 있고, 그만큼 전체 피해 건수 중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2020년 16%, 2022년 20%, 2024년 25%, 2025년 상반기에만 30.6%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5년간 보이스 피싱 전체 피해액은 2020년 7000억 원에서 2023년 4472억 원대로 감소했다가 2024년 8545억 원, 올해는 지난 8월 기준 8856억 원 대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60대 이상 노인에게 보이스피싱 피해는 삶을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문제인 만큼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남인순 의원은 “피해를 막기 위한 행동 지침이 일상 속에 생활화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홍보와 예방 교육 특히 금융교육이 필요하다”며 “특히 어르신들이 격차 없이 정보서비스에 원활하게 접근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보이스피싱 수법은 날로 고도화되고 있다. 택배·카드 발급·과태료 등을 미끼로 한 스미싱 링크로 악성앱을 설치하게 하거나, 수사기관을 사칭해 피해자를 심리적으로 압박하는 전형적 시나리오는 여전히 성행한다. 최근에는 딥보이스나 AI 기반 음성 기술을 악용해 지인 또는 공무원의 목소리를 흉내 내 신뢰를 주려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예방의 기본 원칙은 ‘확인·차단·보고’다.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나 URL은 절대 클릭하지 말고, 알 수 없는 번호로 걸려온 전화에 대해선 즉시 끊은 뒤 공식 기관(은행·경찰·금융감독원)의 공식 연락처로 직접 확인해야 한다. 앱 설치를 요구하거나 비대면으로 계좌이체·송금을 서두르는 경우는 100% 사기 가능성이 높으므로 절대 응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개인·금융정보를 이미 입력하거나 송금했다면 바로 112에 신고하고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입·출금된 은행 콜센터 또는 영업점에 ‘일괄 지급정지’를 신청해야 한다. 계좌·카드·대출 관련 피해 우려 시 금융회사 콜센터에 즉시 연락하면 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자 연령대별 현황’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60대 이상 보이스피싱 피해자 수는 5131명으로 전체 연령대에서 30.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16%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규모다.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60대 이상에선 여전한 모양새다.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2020년도 3만여 건에서 2023년 1만8000여 건, 2024년 2만여 건으로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60대 이상 피해 건수는 5000여 건을 유지하고 있고, 그만큼 전체 피해 건수 중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2020년 16%, 2022년 20%, 2024년 25%, 2025년 상반기에만 30.6%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5년간 보이스 피싱 전체 피해액은 2020년 7000억 원에서 2023년 4472억 원대로 감소했다가 2024년 8545억 원, 올해는 지난 8월 기준 8856억 원 대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60대 이상 노인에게 보이스피싱 피해는 삶을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문제인 만큼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남인순 의원은 “피해를 막기 위한 행동 지침이 일상 속에 생활화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홍보와 예방 교육 특히 금융교육이 필요하다”며 “특히 어르신들이 격차 없이 정보서비스에 원활하게 접근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보이스피싱 수법은 날로 고도화되고 있다. 택배·카드 발급·과태료 등을 미끼로 한 스미싱 링크로 악성앱을 설치하게 하거나, 수사기관을 사칭해 피해자를 심리적으로 압박하는 전형적 시나리오는 여전히 성행한다. 최근에는 딥보이스나 AI 기반 음성 기술을 악용해 지인 또는 공무원의 목소리를 흉내 내 신뢰를 주려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예방의 기본 원칙은 ‘확인·차단·보고’다.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나 URL은 절대 클릭하지 말고, 알 수 없는 번호로 걸려온 전화에 대해선 즉시 끊은 뒤 공식 기관(은행·경찰·금융감독원)의 공식 연락처로 직접 확인해야 한다. 앱 설치를 요구하거나 비대면으로 계좌이체·송금을 서두르는 경우는 100% 사기 가능성이 높으므로 절대 응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개인·금융정보를 이미 입력하거나 송금했다면 바로 112에 신고하고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입·출금된 은행 콜센터 또는 영업점에 ‘일괄 지급정지’를 신청해야 한다. 계좌·카드·대출 관련 피해 우려 시 금융회사 콜센터에 즉시 연락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