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자기 세상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어지럼증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이 많다. 대표적인 원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이석증’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이석증 환자는 2010년 약 23만 명에서 2023년 약 48만 명으로 13년 새 두 배 이상 늘었다.
이석증을 이해하려면 먼저 귀의 기능을 알아야 한다. 귀는 단순히 소리를 듣는 기관이 아니라 머리의 위치를 감지해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때 중요한 구조물이 바로 이석이다. 이석은 귓속에 수만 개 이상 존재하며, 우리 몸이 움직이거나 기울어질 때 이를 감지한다. 그런데 이석이 제자리를 벗어나 반고리관으로 들어가면 이석증이 발생한다. 이때 특정 방향으로 머리나 몸을 움직이면 세상이 도는 듯한 극심한 어지럼증이 나타난다.
이석증은 생각보다 흔한 질환으로, 평생 한 번 이상 겪을 확률이 약 6%에 이르며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약 2.3배 많다고 알려져 있다.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서재현 교수는 “특히 50대 이후 여성은 폐경 후 호르몬 변화와 골다공증으로 뼈 건강이 약해지면서 위험이 커진다”며 “장기간 누워 있는 생활도 원인이 될 수 있는데, 같은 자세로 오래 누워 있으면 중력 때문에 이석이 반고리관으로 빠질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반고리관에 들어간 이석은 저절로 없어지기도 하지만 자연 치유에는 한 달 이상 걸린다는 보고가 있다. 그동안 어지럼증과 구토가 이어져 일상에 큰 불편을 주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가 권장된다. 서재현 교수는 “대표적인 치료법은 이석치환술로, 귓속 구조를 따라 이석이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머리와 몸을 움직이는 물리치료”라며 “한 번 만에 호전되기도 하지만 며칠에 걸쳐 반복해야 완전히 회복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술 후에도 남은 이석 입자 때문에 어지럼증이 당분간 지속될 수 있으며, 이때는 증상 완화를 위해 약물을 쓸 수 있다”며 “다만 약물은 일시적인 완화 효과만 있고 원인을 해결하지는 못한다”고 했다.
이석증은 치료가 어렵지 않지만 재발할 수 있다. 특히 골밀도가 낮으면 이석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지 못해 반복되기 쉽다. 서재현 교수는 “예방을 위해 칼슘과 비타민D를 충분히 섭취하고 햇볕을 쬐는 야외 활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며 “어지럼증이 반복되거나 평소보다 오래 지속될 경우, 또는 신경마비 같은 다른 증상이 동반되면 단순한 이석증이 아닐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경우 뇌졸중,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 등 더 심각한 질환을 감별해야 한다.
이석증을 이해하려면 먼저 귀의 기능을 알아야 한다. 귀는 단순히 소리를 듣는 기관이 아니라 머리의 위치를 감지해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때 중요한 구조물이 바로 이석이다. 이석은 귓속에 수만 개 이상 존재하며, 우리 몸이 움직이거나 기울어질 때 이를 감지한다. 그런데 이석이 제자리를 벗어나 반고리관으로 들어가면 이석증이 발생한다. 이때 특정 방향으로 머리나 몸을 움직이면 세상이 도는 듯한 극심한 어지럼증이 나타난다.
이석증은 생각보다 흔한 질환으로, 평생 한 번 이상 겪을 확률이 약 6%에 이르며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약 2.3배 많다고 알려져 있다.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서재현 교수는 “특히 50대 이후 여성은 폐경 후 호르몬 변화와 골다공증으로 뼈 건강이 약해지면서 위험이 커진다”며 “장기간 누워 있는 생활도 원인이 될 수 있는데, 같은 자세로 오래 누워 있으면 중력 때문에 이석이 반고리관으로 빠질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반고리관에 들어간 이석은 저절로 없어지기도 하지만 자연 치유에는 한 달 이상 걸린다는 보고가 있다. 그동안 어지럼증과 구토가 이어져 일상에 큰 불편을 주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가 권장된다. 서재현 교수는 “대표적인 치료법은 이석치환술로, 귓속 구조를 따라 이석이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머리와 몸을 움직이는 물리치료”라며 “한 번 만에 호전되기도 하지만 며칠에 걸쳐 반복해야 완전히 회복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술 후에도 남은 이석 입자 때문에 어지럼증이 당분간 지속될 수 있으며, 이때는 증상 완화를 위해 약물을 쓸 수 있다”며 “다만 약물은 일시적인 완화 효과만 있고 원인을 해결하지는 못한다”고 했다.
이석증은 치료가 어렵지 않지만 재발할 수 있다. 특히 골밀도가 낮으면 이석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지 못해 반복되기 쉽다. 서재현 교수는 “예방을 위해 칼슘과 비타민D를 충분히 섭취하고 햇볕을 쬐는 야외 활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며 “어지럼증이 반복되거나 평소보다 오래 지속될 경우, 또는 신경마비 같은 다른 증상이 동반되면 단순한 이석증이 아닐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경우 뇌졸중,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 등 더 심각한 질환을 감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