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추석 연휴에는 평소 대비 교통사고 사망률이 증가한다. 이를 예방하려면 안전띠, 카시트 등을 착용해야 하지만 뒷자석 안전띠 착용률은 여전히 절반 가량인 것으로 드러났다.

질병관리청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6년간 교통사고 응급실손상환자 심층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추석 연휴 동안 교통사고가 평상시보다 현저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추석 연휴 하루 평균 교통사고 환자는 96.3명으로 평상시 75.9명에 비해 1.3배 많이 발생했다. 연휴 기간 중 추석 하루 전날이 가장 많은 108.2명이었다.

추석 연휴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은 14시, 17시가 7.6%로 가장 많았고, 7시(2.9%)부터 11시(6.5%)까지 급격하게 증가했다가 18시 이후 평소보다 낮은 수준으로 감소했다.


추석 연휴 중 교통사고 환자는 평소와 비교해 남자(65.4% → 61.0%)는 감소했고 여자(34.6%→ 39.0%)는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50세 이상의 연령층이 감소하고 0~40대까지의 발생 분율은 증가했다.

교통사고는 보호 장비 착용 여부에 따라 중증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카시트 착용 여부에 따른 입원 및 사망 결과를 분석한 결과, 미착용한 경우의 입원과 사망은 각각 5.3%, 0.4%로, 착용한 경우(입원 3.4%, 사망 0.3%)보다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띠의 경우, 착용한 사람 중에서 입원한 사람은 20.6%였으나, 미착용한 사람은 24.5%였고, 착용한 사람의 사망이 1.0%인 반면 미착용에서는 2.3%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차량 탑승자의 좌석별 좌석안전띠 착용률을 살펴보면, 운전석(85.1%)과 조수석(91.8%)은 높았으나, 뒷자석은 48.0%로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뒷좌석 좌석 안전띠의 중요성은 입원 및 사망 자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뒷좌석에서 좌석 안전띠를 착용한 경우 입원과 사망은 각각 13.7%, 0.3%였으나, 미착용한 경우 17.0%, 0.9%로 더 많았다. 이는 뒷좌석 좌석안전띠 착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미지
카시트, 좌석안전띠 착용 여부에 따른 입원·사망률./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교통사고는 손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중증외상의 가장 큰 원인”이라며 “사고 발생 시, 카시트 및 좌석안전띠 착용이 입원과 사망을 줄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뒷좌석은 좌석안전띠 착용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작은 실천이 큰 안전을 지켜주는 만큼, 국민 모두가 기본 안전수칙 실천하여 안전하고 평안한 추석 연휴를 보내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