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가톨릭중앙의료원
가톨릭중앙의료원이 기초의학사업추진단 산하에 ‘가톨릭우주의학연구센터’를 개소하고 국내 우주의학을 선도하기 위한 첫걸음에 나선다.

센터장은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주지현 교수가 맡아 연구를 총괄하며, 개소를 축하하기 위한 심포지엄이 오는 16일 오후 1시부터 가톨릭대 옴니버스 파크 컨벤션홀에서 개최된다.

이번 센터 개소는 보건복지부의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우주의학 혁신 의료기술개발 부문 선정에 따른 것이다. ARPA-H는 보건의료 난제 해결을 위한 임무 중심형 연구개발 사업으로, 특히 올해부터 우주의학 기술에 대한 연구도 포함됐다.

‘가톨릭우주의학연구센터’는 ‘우주환경 활용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인공혈액 제조 공정 혁신기술 개발’을 주제로 2029년 4월 30일까지 총 연구비 108억원을 지원 받는다.


일반적으로 100km 이상의 고공이 우주로 정의되며, 인간은 우주의 영역에 도달하는 순간 심혈관계, 전정신경계, 근골격계, 면역계 등 모든 인체기관에 크고 작은 변화를 겪게 된다.

우주의학은 이러한 인체의 변화를 관찰하고 유해한 영향으로부터의 적절한 예방 조치와 보호 방법을 개발하는 분야로, 우주환경에서의 연구 결과는 지구(지상)에서의 난치성 질환 연구와 치료에 좋은 참고 자료가 된다.

주지현 교수는 센터 개소에 대해 “우주환경에서 융복합 연구를 추진, 여기에서 얻은 지식과 기술을 난치성 질환 극복, 노화 연구, 재생의학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데 활용할 것이다”며 “우주의학 분야 중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우주환경 활용 부문 국내 최초 전문센터 개설인 만큼 해당 연구 분야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10월 16일 센터 개소 기념 심포지엄은 우주환경 의학적 응용을 주제로 ▲정책과 기업의 관점 ▲의학연구의 실제 응용 사례를 각각의 세션으로 논의하며, 가톨릭대, 서울대, 인하대, 고려대 등 주요 의과대학 교수진과 우주항공청,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 등이 참석한다. 우주의학에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무료 참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