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이미지
가수 겸 배우 수지(30)가 하루 평균 네 시간을 잔다고 밝혀 충격을 안겼다.​/사진=유튜브 채널 ‘뜬뜬’​
가수 겸 배우 수지(30)가 하루 평균 네 시간을 잔다고 밝혀 충격을 안겼다.

지난 9월 27일 유튜브 채널 ‘뜬뜬’에서 진행된 웹예능 ‘핑계고’에는 김우빈과 수지가 출연해 MC인 유재석, 양세찬과 이야기를 나눴다. 수면 습관에 대해 이야기하던 중 김우빈은 수지에 대해 “잠을 진짜 안 잔다”고 말했다. 수지는 “잠을 오래 자는 편이어서 네 시간 정도 잔다”고 말했다. 유재석이 전날 몇 시에 잤는지 묻자, 수지는 “한 2~3시에 잤고 5시에 일어났다”고 말했다.

수지는 “낮잠을 좋아하지만 일 때문에 낮잠을 잘 못 잔다”며 “낮잠은 한 시간 안팎으로 잔다”고 말했다. 김우빈과 유재석, 양세찬이 놀라자, 수지는 “너무 오래 자면 오히려 더 피곤하다”며 “일상생활에 지장은 없는데 막상 마음먹고 자도 10시간을 넘겨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수지처럼 적게 자도 장기적인 신체 건강에 괜찮을까?

◇치매 위험 커지고 살찌기 쉬워
노화를 늦추려면 충분한 수면 시간이 중요하다. 수면은 신체 회복, 기억 저장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잠을 충분히 자면 뇌를 포함한 우리 몸의 모든 장기가 피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체내에 유입된 유해 물질이나 손상 세포를 없애고 복구한다. 수면이 부족하면 뇌 속 치매 유발 물질이 늘어나 인근 뇌신경세포와 신경회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자고 있을 때 우리 뇌는 습득한 기억을 정리해서 장기기억 저장소에 보낸다. 그리고 이곳에서 기억이 장기화하고 기억의 연결망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숙면을 취해야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다.


게다가 잠이 부족하면 우리 몸은 살찌기 쉬운 체질로 변할 수 있다. 자는 동안엔 자율신경 중 몸을 흥분시키는 역할을 하는 교감신경 활성도가 떨어진다. 그런데, 수면이 부족한 사람은 이 과정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자는 동안에도 교감신경의 각성 상태가 유지되면 신경전달물질인 카테콜아민이 증가해 혈당이 오른다.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면 우리 몸은 이를 떨어뜨리기 위해 인슐린 호르몬을 과도하게 분비한다. 문제는 과분비된 인슐린이 지방 분해와 연소를 막고 지방 축적을 촉진한다는 것이다. 잠이 부족할 때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가 높아지는 것 또한 지방 축적을 부추긴다.

◇적은 수면 시간 익숙해도 하루 7~8시간 수면 필요
수지처럼 오랜 기간 적게 잠을 잤다 해도 건강을 위해서는 수면 시간을 늘리는 게 좋다.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이비인후과 전병두 과장은 “하루 4~5시간 수면에 적응됐다고 느낀다면 대부분 몸이 만성 수면 부족 상태에 둔해졌을 가능성이 높다”며 “정기적인 건강검진으로 건강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성인 기준 하루 7~8시간은 자야 비만, 심뇌혈관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2016년 미국 국립수면연구재단에서는 전 세계 적정 수면 시간에 대한 연구를 종합해, 연령별 권장 수면 시간을 발표했다. 발표 결과, ▲생후 3개월까지 14~17시간 ▲생후 4~11개월 12~15시간 ▲만 1~2세 11~14시간 ▲만 3~5세 10~13시간 ▲만 6~13세 9~11시간 ▲만 14~17세 8~10시간 ▲만 18~25세 7~9시간 ▲만 26세 이상은 7~8시간을 권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