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치할 때 치약을 어느정도 사용하는 게 좋을까? 치약에는 불소가 고함량 함유돼 있어, 6세 미만 어린이는 완두콩 만큼 사용하는 게 권장된다. 3세 미만이라면 쌀알 만큼으로 더 적게 사용해야 한다.
이 사실에 대해 보호자도 잘 모르고 있다는 게 최근 확인됐다. 지난 2024년 연대 치대 연구팀은 어린이 환자 부모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연령에 맞는 치약 양을 알고 있다고 답한 사람은 약 39%로 절반에 못 미쳤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연구에서도 미국의 80% 이상 가정에서 만 6세 미만 어린이에게 치약을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불소는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크고,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이 때문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최근 치약의 허용 불소 함량을 1000ppm에서 1500ppm으로 상향 조정했다. 특히 성인 치아보다 얇고 무른 유치가 있는 어린이들은 불소 치약을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하지만 과도한 불소 사용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삼킴 반사 능력이 미숙한 6세 미만에서는 치약을 삼킬 수 있는데, 불소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설사·구토·불소 중독·치아 불소증을 유발할 수 있다. 치아 불소증은 치아에 하얗거나 짙은 얼룩이 생기는 질환이다. 호주치과협회 퀸즐랜드 지부 노라 아야드 수석 부회장은 "체내 불소 농도가 매우 높으면, 치아를 생성할 때 다른 미네랄과 섞이며 불소 비율이 바뀐다"며 "이로 인해 치아가 얼룩지거나 변색될 수 있고 심하면 치아 표면이 거칠어진다"고 했다.
미국 치과협회, 유럽소아치과학회(EAPD), 대한소아치과학회 등은 이를 막기 위해 3~6세 어린이에게는 완두콩 크기(0.25g)만큼, 3세미만 어린이에게는 쌀알 크기(0.1g) 만큼 치약을 사용하라고 권장하고 있다.
말로만 들었을 때는 완두콩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알기 어렵다. 실제 영국 GSK 소비자 헬스케어팀이 독일·미국·영국 부모를 대상으로 완두콩 크기만큼 치약을 짜게 하자, 국적에 상관없이 모든 부모가 권장량(0.25g)보다 더 많은 양을 짰다. 영국 부모는 평균 0.57g, 미국 부모는 평균 0.52g, 독일 부모는 평균 1.18g의 치약을 짰다. 치약의 종류에 따라, 정확한 그램 수는 다를 수 있지만 시각화하면 다음(▽그래픽)과 같다.
이 사실에 대해 보호자도 잘 모르고 있다는 게 최근 확인됐다. 지난 2024년 연대 치대 연구팀은 어린이 환자 부모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연령에 맞는 치약 양을 알고 있다고 답한 사람은 약 39%로 절반에 못 미쳤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연구에서도 미국의 80% 이상 가정에서 만 6세 미만 어린이에게 치약을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불소는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크고,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이 때문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최근 치약의 허용 불소 함량을 1000ppm에서 1500ppm으로 상향 조정했다. 특히 성인 치아보다 얇고 무른 유치가 있는 어린이들은 불소 치약을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하지만 과도한 불소 사용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삼킴 반사 능력이 미숙한 6세 미만에서는 치약을 삼킬 수 있는데, 불소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설사·구토·불소 중독·치아 불소증을 유발할 수 있다. 치아 불소증은 치아에 하얗거나 짙은 얼룩이 생기는 질환이다. 호주치과협회 퀸즐랜드 지부 노라 아야드 수석 부회장은 "체내 불소 농도가 매우 높으면, 치아를 생성할 때 다른 미네랄과 섞이며 불소 비율이 바뀐다"며 "이로 인해 치아가 얼룩지거나 변색될 수 있고 심하면 치아 표면이 거칠어진다"고 했다.
미국 치과협회, 유럽소아치과학회(EAPD), 대한소아치과학회 등은 이를 막기 위해 3~6세 어린이에게는 완두콩 크기(0.25g)만큼, 3세미만 어린이에게는 쌀알 크기(0.1g) 만큼 치약을 사용하라고 권장하고 있다.
말로만 들었을 때는 완두콩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알기 어렵다. 실제 영국 GSK 소비자 헬스케어팀이 독일·미국·영국 부모를 대상으로 완두콩 크기만큼 치약을 짜게 하자, 국적에 상관없이 모든 부모가 권장량(0.25g)보다 더 많은 양을 짰다. 영국 부모는 평균 0.57g, 미국 부모는 평균 0.52g, 독일 부모는 평균 1.18g의 치약을 짰다. 치약의 종류에 따라, 정확한 그램 수는 다를 수 있지만 시각화하면 다음(▽그래픽)과 같다.

성인은 치약을 삼킬 가능성이 적으므로, 꼭 완두콩만큼 짤 필요는 없다.
한편, 어린이가 치약을 삼켰을 때는 칼슘이 풍부한 우유를 섭취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불소는 위장에서 칼슘 등을 만나면 덩어리를 형성해, 체내 흡수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치약을 반통 가까이 많이 삼켰다면 우유 섭취 후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불소 중독으로 복통, 구토, 설사, 심하면 저칼륨혈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어린이가 치약을 삼켰을 때는 칼슘이 풍부한 우유를 섭취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불소는 위장에서 칼슘 등을 만나면 덩어리를 형성해, 체내 흡수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치약을 반통 가까이 많이 삼켰다면 우유 섭취 후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불소 중독으로 복통, 구토, 설사, 심하면 저칼륨혈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