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매년 10월 둘째 주 목요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눈의 날’이다. 눈의 핵심 조직 중 하나인 망막은 1억 개 이상의 세포가 얽히고설킨 채 안구 가장 안쪽을 둘러싸고 있다. 빛을 인지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해 뇌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고도근시가 있다면 망막 구조가 변해 돌이킬 수 없는 시력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근시의 유병률은 세계적으로 점점 증가하고 있고, 특히 동아시아에서는 그 유병률이 더 높아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근시는 눈으로 들어온 빛이 망막보다 앞에 맺혀 멀리 있는 물체를 선명하게 보지 못하는 상태다. 안경 도수를 나타내는 디옵터(diopter)로 구분하며, 일반적으로 -6디옵터 이상이거나, 안구 길이 26mm 이상일 때부터 고도근시로 분류한다.

고도근시 중 굴절력에만 문제가 있는 환자는 안경이나 렌즈로 시력 교정이 가능하지만, 안구가 앞뒤로 심하게 길어진 환자는 망막과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까지 영향을 받아 병적인 시력 이상(황반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 풍선을 크게 불수록 표면이 얇아지고 터지기 쉬운 것처럼, 안구가 비정상적으로 확장될 경우 망막이 약해지면서 손상이나 노화에 더욱 취약하게 변하는 것이다. 서울대병원 안과 박운철 교수는 “이는 넓은 의미에서는 황반변성의 한 종류지만, 고령층에게 흔히 발생하는 나이 관련 황반변성과는 원인과 진행 양상이 다르다”고 말했다.


고도근시 황반병증은 주로 40대 이상에서 발생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흔하다. 중년기를 무사히 넘기더라도 노년기에 생기기도 한다. 고도근시 환자 중 안구 길이 증가 등 눈의 구조적 변화가 오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사람이 그렇다. 이 경우, 40~50대에 망막과 황반 기능이 정상이더라도 60~70대에 황반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고도근시인 사람에게서 안구가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막는 방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그러나 안구가 확장되며 발생하는 발생한 2차적인 합병증은 주사나 수술을 통해 충분히 치료할 수 있다. 근시성 신생 혈관, 망막 층간 분리, 시신경 뒤틀림 등이다. 근시성 신생 혈관은 안구가 확장되며 망막 바깥쪽이 틀어져 생긴 작은 틈 사이로 새로운 혈관이 자라나는 것이다. 이 혈관이 출혈이나 삼출물을 발생시켜 시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박운철 교수는 “안구에 혈관 내피 세포 성장 인자(VEGF) 억제제를 주사해 치료한다”고 말했다. 망막 층간 분리는 안구가 늘어나는 속도를 세포 조직이 따라가지 못해 망막을 구성하는 세포층이 분리되는 것이다. 내버려두면 시력이 떨어지고, 망막 박리로 이어질 수 있다. 박운철 교수는 “망막 층간 분리가 시력에 영향을 준다면 갈라지거나 떨어진 망막 조직을 다시 붙여주는 수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신경 뒤틀림은 안구 뒤쪽이 늘어나며 시신경 연결 부위가 변형돼 연결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시야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박운철 교수는 “신경을 보호하고, 시야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안압 하강제를 투여한다”고 말했다.

고도근시가 있다면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았는지 주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게 좋다. 특히 시력 변화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최소 6개월마다 전문의에게서 망막 단층 촬영(OCT) 검사와 안저 검사를 받고, 1년에 한 번 정도는 안구 길이 검사를 통해 증가 양상을 관찰하는 것이 좋다. 박운철 교수는 “갑자기 시야의 한가운데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거나 깜깜해지는 중심 시력 저하가 발생하면 지체하지 말고 망막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