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화장실은 습기가 잘 빠지지 않아 세균이 번식하기 쉽다. 이런 곳에 보관했다간 자칫 득실거리는 세균을 몸에 들이게 되는 물건들이 있다. 무엇일까.

칫솔=칫솔을 화장실에 한 달간 보관했을 때 세균 수가 149.46 CFU(집락 형성 단위)이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는 어린이들이 쓰는 밀폐된 칫솔 케이스 속 칫솔보다 높은 수치다. 겨울철 공중화장실 변기 시트의 세균수는 202 CFU다. 칫솔은 집에서 건조한 곳에 보관하는 게 좋고 부득이하게 화장실에 보관해야 한다면 자외선 살균제를 쓰거나 창가에 두는 게 좋다. 면도기 역시 마찬가지다.


사용한 수건=쓴 수건은 말려 써야 한다. 창문 없는 화장실에 그냥 뒀다가는 냄새뿐 아니라 곰팡이가 생길 수 있어서다. 화장실에 자주 생기는 곰팡이 오레오바시듐이나 클라도스포륨은 새까맣고 끈적이는 특성이 있다. 생명력이 강해 자외선이 세거나 온도가 낮아도 잘 자란다. 타일 사이 실리콘이나 가습기 내부에서도 발견되고 수건에서도 살 수 있다. 이러한 곰팡이의 포자를 흡입하면 과민성 폐렴이나 천식 등의 알레르기 질환이 유발된다. 곰팡이가 붙은 수건으로 얼굴을 닦으면 접촉성 피부염을 겪을 수 있다. 한 번 사용한 뒤 건조한 곳에서 말리거나 세탁하자.

약=의약품을 변질시키는 요인은 수분과 온도다. 뜨거운 물로 샤워하는 화장실에 의약품을 보관한다면 약이 서서히 변질될 가능성이 크다. 형태뿐 아니라 화학적 측면에서도 성분이 바뀌어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의약품은 약의 종류마다 보관 방법이 다르다. 아스피린, 덱시부프로펜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진통 소염제는 실온, 좌약이나 일부 항생제 등은 냉장 보관해야 한다. 같은 이유로 화장품을 보관하는 것도 좋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