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건강하던 콩팥이 갑자기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우리 몸에서 노폐물이 제대로 빠져나가지 않아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른다. 콩팥을 망가뜨리는 일상 속 원인을 알고, 잘 피해야 한다.

탈수=몸속 수분이 부족한 탈수를 극심히 겪을 때 콩판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설사·구토가 심해 탈수가 생기면 콩팥이 손상되는 이유다. 이때는 수액주사를 맞는 등 시급히 대처해야 한다. 평소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 배뇨기능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조영제=CT(컴퓨터단층촬영)·MRI(자기공명영상) 같은 영상 검사가 늘면서 조영제가 콩팥을 망가뜨릴 수 있다. 콩팥은 약물을 배설하는 기관이라 조영제를 포함한 약물 독성에 민감하다. 고령, 당뇨병·고혈압 등을 앓고 있거나, 만성 콩팥병이 있는 사람은 CT·MRI 검사 전 콩팥기능을 확인하는 등 전문의와 상담을 하고, 불필요한 조영제 사용을 줄이도록 한다.


일부 식물성분=마두령, 방기, 목향 등에 포함된 '아리스톨로킥산'은 콩팥에 나쁘다. 콩팥 기능이 떨어져 있는 노인, 당뇨병·고혈압 환자 등은 식물 성분이 든 식품을 먹기 전에 주치의와 상의하는 게 좋다.

과도한 운동=운동이 과할 때 근육세포가 파괴되면서 생기는 '마이오글리빈'이라는 단백질도 콩팥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체력에 맞게 운동해야 한다. 무리한 운동을 한 뒤에 근육이 붓고 아프면서 붉은 소변이 나온나면 급성 콩팥 손상을 의심해볼 수 있다.

한편, 콩팥이 갑자기 손상되면 갑자기 소변량이 줄거나 소변 색깔이 붉어지고 몸이 붓는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본인이 모를 때도 있다. 따라서 1년에 한번 정기적으로 콩팥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급성 콩팥병의 경우 일찍 발견해 치료하면 정상으로 회복 가능하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다. 약물이 원인이면 약물을 끊고, 탈수가 있으면 수액 요법을 하는 식이다. 치료가 늦거나 중증도가 심할 경우 20~30%는 회복이 안 되고 계속 나빠지는 만성 콩팥병으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