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PV(인유두종바이러스) 병원체 보유자와 두경부암, 구인두암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남성 청소년 HPV 예방접종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HPV 병원체보유자 신고 건수는 1만4534건으로 2020년 1만945건 대비 32.8%가 늘었다. 올해는 8월 기준 9394건에 달한다. 성별로는 여성이 보유자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같은 기간 남성이 117건에서 214건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HPV 관련 암도 증가하는 추세다. 국제인유두종 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암의 5%는 HPV가 원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대표적인 HPV 관련 암 진료 현황을 보면, 두경부암 남성 환자수는 2020년 9만3208명에서 2024년 11만5474명으로 23.9% 늘었다. 구인두암 남성 환자수도 같은 기간 4388명에서 5586명으로 27.3%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진료비도 동반 상승했다.
HPV 관련 암이 늘면서 HPV 백신 접종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 승인된 HPV 백신은 서바릭스(2가), 가다실 4가, 가다실 9가 세 종류다. 9가 HPV 백신은 9가지 바이러스를, 4가 HPV 백신은 4가지 바이러스만 각각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9가 HPV 백신은 HPV 관련 암을 최대 96.7%까지 예방해 4가 HPV 백신 대비 20% 이상의 추가 예방효과가 있다.
그러나 한국의 백신 접종은 국제적인 추세와도 맞지 않은 실정이다. OECD 국가 중 남녀 모두에게 백신을 지원하는 국가가 34개국이나 되지만, 한국, 일본, 멕시코 단 3개국만 여성만 지원하고 있다. 이마저도 일본은 9가 백신을 지원한다.
한편, 앞서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국가예방접종 도입 우선순위 설정 및 중장기 계획 수립’ 연구 결과에 따르면 HPV 9가 백신(12세 여아)은 3위, HPV 9가 백신(12세 남아 및 여아)도 6위로 그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이재명 정부는 내년도 정부안에 12세 남성청소년 접종 예산을 포함시켰다. 질병관리청 추계에 따르면 국가 예방접종 지원 대상 전체를 9가 백신으로 전환하여 지원할 경우 접종률에 따라 정부안 대비 약 90~165억원의 추가 예산 소요가 예상된다.
박희승 의원은 “예산 확보를 통한 점진적인 대상 확대 및 양질의 백신 전환을 통해, 선진국 지위에 걸맞게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HPV 병원체보유자 신고 건수는 1만4534건으로 2020년 1만945건 대비 32.8%가 늘었다. 올해는 8월 기준 9394건에 달한다. 성별로는 여성이 보유자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같은 기간 남성이 117건에서 214건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HPV 관련 암도 증가하는 추세다. 국제인유두종 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암의 5%는 HPV가 원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대표적인 HPV 관련 암 진료 현황을 보면, 두경부암 남성 환자수는 2020년 9만3208명에서 2024년 11만5474명으로 23.9% 늘었다. 구인두암 남성 환자수도 같은 기간 4388명에서 5586명으로 27.3%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진료비도 동반 상승했다.
HPV 관련 암이 늘면서 HPV 백신 접종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 승인된 HPV 백신은 서바릭스(2가), 가다실 4가, 가다실 9가 세 종류다. 9가 HPV 백신은 9가지 바이러스를, 4가 HPV 백신은 4가지 바이러스만 각각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9가 HPV 백신은 HPV 관련 암을 최대 96.7%까지 예방해 4가 HPV 백신 대비 20% 이상의 추가 예방효과가 있다.
그러나 한국의 백신 접종은 국제적인 추세와도 맞지 않은 실정이다. OECD 국가 중 남녀 모두에게 백신을 지원하는 국가가 34개국이나 되지만, 한국, 일본, 멕시코 단 3개국만 여성만 지원하고 있다. 이마저도 일본은 9가 백신을 지원한다.
한편, 앞서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국가예방접종 도입 우선순위 설정 및 중장기 계획 수립’ 연구 결과에 따르면 HPV 9가 백신(12세 여아)은 3위, HPV 9가 백신(12세 남아 및 여아)도 6위로 그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이재명 정부는 내년도 정부안에 12세 남성청소년 접종 예산을 포함시켰다. 질병관리청 추계에 따르면 국가 예방접종 지원 대상 전체를 9가 백신으로 전환하여 지원할 경우 접종률에 따라 정부안 대비 약 90~165억원의 추가 예산 소요가 예상된다.
박희승 의원은 “예산 확보를 통한 점진적인 대상 확대 및 양질의 백신 전환을 통해, 선진국 지위에 걸맞게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