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햄·소시지·베이컨 같은 가공육을 자주 먹는 여성은 유방암에 걸릴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예방의학교실 강대희·이효빈 교수, 유방외과 한원식 교수, 식품영양학과 이정은 교수 연구팀은 가공육 섭취와 유방암 발생 위험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대규모 코호트 조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건강검진 참여자 코호트에 등록된 40~69세 여성 7만1264명을 최대 10년간 추적 관찰했다. 식습관은 식품섭취빈도조사를 통해 가공육·소고기 등 특정 식품의 섭취 빈도와 양을 기록했으며, 암 발생 여부는 중앙암등록본부와 통계청 사망진단서를 연계해 확인했다. 추적 기간 동안 713명이 새롭게 유방암 진단을 받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식습관과 유방암 발생 위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주 1회 이상 가공육을 섭취한 여성은 가공육을 전혀 먹지 않은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이 57% 높았다. 특히 ▲50세 미만 여성 ▲유방암 가족력이 없는 여성 ▲규칙적으로 운동하지 않는 여성 ▲음주를 하지 않는 여성 ▲체질량지수가 25 미만인 여성에서 위험 증가가 두드러졌다. 반대로 소고기를 월 2회 이상 먹은 여성은 유방암 위험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음주 여성이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 여성에서 그 효과가 더 뚜렷했다.
연구팀은 “가공육 섭취가 유방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식습관 관리가 필요하다”며 “특히 젊은 여성에서 나타난 높은 연관성은 한국 사회의 젊은 유방암 문제와 관련해 주목할 만하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소고기의 경우 일부 집단에서 위험 감소 효과가 관찰됐지만, 인과성을 단정하기에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임상영양학(Clinical Nutri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서울대 예방의학교실 강대희·이효빈 교수, 유방외과 한원식 교수, 식품영양학과 이정은 교수 연구팀은 가공육 섭취와 유방암 발생 위험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대규모 코호트 조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건강검진 참여자 코호트에 등록된 40~69세 여성 7만1264명을 최대 10년간 추적 관찰했다. 식습관은 식품섭취빈도조사를 통해 가공육·소고기 등 특정 식품의 섭취 빈도와 양을 기록했으며, 암 발생 여부는 중앙암등록본부와 통계청 사망진단서를 연계해 확인했다. 추적 기간 동안 713명이 새롭게 유방암 진단을 받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식습관과 유방암 발생 위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주 1회 이상 가공육을 섭취한 여성은 가공육을 전혀 먹지 않은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이 57% 높았다. 특히 ▲50세 미만 여성 ▲유방암 가족력이 없는 여성 ▲규칙적으로 운동하지 않는 여성 ▲음주를 하지 않는 여성 ▲체질량지수가 25 미만인 여성에서 위험 증가가 두드러졌다. 반대로 소고기를 월 2회 이상 먹은 여성은 유방암 위험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음주 여성이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 여성에서 그 효과가 더 뚜렷했다.
연구팀은 “가공육 섭취가 유방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식습관 관리가 필요하다”며 “특히 젊은 여성에서 나타난 높은 연관성은 한국 사회의 젊은 유방암 문제와 관련해 주목할 만하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소고기의 경우 일부 집단에서 위험 감소 효과가 관찰됐지만, 인과성을 단정하기에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임상영양학(Clinical Nutri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