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김지형 교수 연구팀(고선호 전공의)이 지난 6일 개최된 ‘2025 대한말초신경수술학회 추계 학술 대회’에서 최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
대한말초신경수술학회는 말초 신경 질환의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기법의 발전을 위해 설립된 학회다. 매년 학술 대회를 개최하며, 발표된 연구 중 가장 우수한 1편에 대해 ‘최우수 구연상’을 수여한다.
김 교수팀은 ‘흉곽 출구 증후군 환자의 늑골-쇄골 간 거리 분석’ 연구를 발표, 인공지능 기반의 새로운 분석법을 통해 환자마다 최적화된 치료법을 제시할 근거를 마련했다.
흉곽 출구 증후군은 목과 어깨 사이에서 신경과 혈관이 주변 구조물에 눌리며 발생하는 질환이다. 특히 늑골과 쇄골의 간격이 좁아져 쇄골하 동맥을 압박하는 경우, 팔로 통하는 혈류가 감소하거나 혈전이 발생해 ‘늑골 절제술’ 등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흉곽 출구 증후군 환자의 수술 전 CT 혈관 조영술 영상을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하고, 쇄골하 동맥 압박이 발생할 수 있는 늑골-쇄골 거리를 제시했다.
김지형 교수는 “이번 연구는 흉곽 출구 증후군 환자에게 늑골 절제술이 필요한 경우를 판단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연구를 지속해 환자에게 최적화된 수술 시점을 제시할 때 참고할 객관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대한말초신경수술학회는 말초 신경 질환의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기법의 발전을 위해 설립된 학회다. 매년 학술 대회를 개최하며, 발표된 연구 중 가장 우수한 1편에 대해 ‘최우수 구연상’을 수여한다.
김 교수팀은 ‘흉곽 출구 증후군 환자의 늑골-쇄골 간 거리 분석’ 연구를 발표, 인공지능 기반의 새로운 분석법을 통해 환자마다 최적화된 치료법을 제시할 근거를 마련했다.
흉곽 출구 증후군은 목과 어깨 사이에서 신경과 혈관이 주변 구조물에 눌리며 발생하는 질환이다. 특히 늑골과 쇄골의 간격이 좁아져 쇄골하 동맥을 압박하는 경우, 팔로 통하는 혈류가 감소하거나 혈전이 발생해 ‘늑골 절제술’ 등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흉곽 출구 증후군 환자의 수술 전 CT 혈관 조영술 영상을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하고, 쇄골하 동맥 압박이 발생할 수 있는 늑골-쇄골 거리를 제시했다.
김지형 교수는 “이번 연구는 흉곽 출구 증후군 환자에게 늑골 절제술이 필요한 경우를 판단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연구를 지속해 환자에게 최적화된 수술 시점을 제시할 때 참고할 객관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