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훼스탈, 까스활명수/사진=각사 제공
약국·편의점 등에서 구매할 수 있는 소화제는 알약·캡슐부터 액상까지 종류와 품목이 다양하다. 제형과 성분에 따라 효과와 주의 사항이 다른 만큼, 상황에 맞게 제품을 선택·복용할 필요가 있다.

◇빠른 효과 원하면 활명수, 만성 환자는 훼스탈
일반의약품 소화제는 크게 알약·캡슐 제형과 액상 제형으로 나뉜다. 알약은 기본적으로 소화를 돕는 '효소'와 간 기능에 도움을 주는 ‘UDCA(우르소데옥시콜산)’를 기반으로 한다. 주로 과식 또는 기름진 식사 후 전반적인 소화 보조가 필요한 경우에 복용하는 것이 좋으며, 만성 소화불량이 있어 장기간 복용이 필요한 환자에게도 권장된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훼스탈’, ‘베아제’ 등이 있다. 훼스탈은 판크레아틴이라는 소화효소와 UDCA에 셀룰라아제(섬유소)·시메티콘(가스 제거 성분)을 복합한 약이며, 베아제는 복합효소·UDCA 조합에 시메치콘과 효소 보강 성분을 추가한 제품이다.

액상형은 생약 성분이 포함된다. ‘까스활명수’, ‘까스활명수-큐’는 생약 성분에 탄산을 첨가해 가스를 배출하거나 울렁거림을 줄이며, ‘베나치오’는 생약 성분에 진경제 성분 'L-멘톨'을 첨가해 위부 팽만감과 구역감을 줄인다. 베나치오의 경우 까스활명수와 달리 탄산이 없어 자극이 좀 더 적다. ▲증상이 급성이거나 ▲트림·가스·팽만이 주요 증상이거나 ▲구역감을 동반할 경우에는 액상형 소화제가 권장된다. 실제로 액상형 소화제는 이미 용액 상태이기 때문에 위에서 빠르게 작용하는 등 알약 대비 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

한국약사교육연구회 김예지 부회장(약사)는 "정제형 소화제는 붕해·용해 과정을 거쳐야 약물이 흡수되므로 효과 발현까지 시간이 다소 걸리고, 액상형 소화제는 복용 직후부터 효소가 활성화되기 쉬워 효과 발현이 빠르다"며 "급성 증상 완화를 원하거나, 복용 직후 빠른 체감 효과를 중시하는 경우 액상형 소화제가 우선 권고된다"고 말했다.


◇과음 후 소화제 지양… 가볍게 마셨을 땐 알약 복용 가능
소화제 또한 제형마다 주의 사항이 있다. 췌장염 또는 담도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알약을 복용할 경우 주의해야 한다. 소화 효소가 췌장을 자극해 증상을 더 심하게 만들거나, UDCA 성분이 담즙 정체를 악화시킬 수 있어서다. 위염이나 위궤양을 앓는 환자는 탄산이 점막을 자극할 수 있고, 임신부는 일부 생약 성분이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어 액상형 소화제를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까스활명수의 경우 3개월 미만 영아는 복용할 수 없다.

술을 많이 마신 후에 속 쓰림을 줄이고자 소화제를 찾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이 아니다. 소화제 복용 시 위산의 분비량이 늘어 오히려 속 쓰림이 심해질 수 있다. 과음 후 또는 간 질환·위염이 있는 환자가 약이 필요할 때는 소화제보다 위장약이 더 적합하다.

다만, 술을 가볍게 마신 상태에서 소화를 목적으로 소화제를 찾는다면, 자극이 비교적 덜한 알약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김예지 부회장은 "가볍게 술을 마시고 더부룩하거나 체했을 경우 효소제 기반 알약은 비교적 안전하다"며 "술로 속이 쓰리거나 위가 약하다면 액상형 탄산·생약 제제는 피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