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더원서울안과 허장원 원장
시야가 갑자기 가려지거나 눈앞에 번쩍임, 검은 점이 보인다면 단순한 피로나 노화가 아니라 시력을 위협하는 응급질환일 수 있다. 특히 망막박리의 신호일 가능성이 있어 검진을 빨리 받아보는 게 좋다.

망막은 카메라의 필름처럼 눈의 핵심 역할을 하는 신경조직이다. 망막이 안구 벽에서 떨어져 나가면 빛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 시야 일부가 차단되고,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실명으로 이어진다. 망막박리는 노화에 따른 유리체 변화가 가장 흔한 원인이다. 눈 속을 채우는 젤리 같은 유리체가 수축하며 망막을 잡아당겨 찢어짐을 만들고, 그 틈으로 액체가 스며들어 망막이 들뜨게 된다. 고도근시 환자나 눈 외상, 수술 이력, 가족력 역시 주요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증상은 비교적 분명하다. 눈앞에 벌레가 떠다니는 듯 보이는 비문증, 어두운 공간에서 번쩍이는 광시증, 시야 일부가 커튼처럼 가려지는 현상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많은 환자들이 이를 단순 노안이나 피로로 오해해 치료 시기를 놓친다. 문제는 망막박리가 시간이 지날수록 예후가 나빠지고, 망막이 떨어져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시력 회복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작은 증상이라도 나타난다면 즉시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

진단 과정에서는 산동제를 이용한 안저검사가 기본이다. 세극등 현미경과 특수 렌즈로 망막의 열공이나 박리 범위를 확인하고, 광각 안저 촬영이나 빛간섭단층촬영(OCT)으로 세밀한 분석을 더한다. 출혈이나 혼탁이 있을 경우 초음파 검사가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이렇게 다양한 검사를 종합해야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방향을 정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망막이 단순히 찢어진 단계라면 레이저나 냉동 응고술로 추가 진행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이미 넓게 들떠 있다면 수술이 필요하다. 유리체절제술은 변성된 유리체를 제거하고 망막을 제자리에 붙이는 방식이며, 공막돌륭술은 눈 외부에서 실리콘 재질로 압박해 망막을 밀착시키는 방법이다. 경우에 따라 가스나 실리콘 오일을 안구 내에 주입해 망막을 안정시키기도 한다. 수술 이후에는 망막이 잘 안착했는지, 시력 회복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망막박리는 흔한 질환은 아니지만, 한 번 발생하면 삶의 질을 크게 위협할 수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 하지만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시력을 지킬 가능성은 충분하다. 고도근시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외상이나 수술 경험이 있는 환자는 특히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작은 이상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환자 스스로 눈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작은 증상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실명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이 칼럼은 더원서울안과 허장원 원장의 기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