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지역 흉부외과 수련시스템이 사실상 붕괴 단계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은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를 통해 받은 '2025년 9월 전공의 현황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있었던 의정 갈등 이후 전국 전공의는 36.5% 급감했고, 전공의 가동률은 63.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 4년차 전공의 수가 크게 줄었다. 같은 기간 ▲1년차 28.6% ▲2년차 42.1% ▲3년차 29.4% ▲4년차 41.7% 만큼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2년부터 전문의는 자연 감소되고 있었으나, 이번 갈등으로 그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졌다. 전공의 유입보다 유출이 더 많은 구조가 고착화됐다. 연간 순감 전문의 수는 10~20명에서 30~40명으로 확대됐다.



이미지
예상 은퇴전문의와 신규전문의 수급 예상 그래프. 의정 갈등 전(왼쪽)과 후./사진=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실
지역 전공의 감소는 더욱 심각하다. 강원·충북·제주는 전공의 0명인 ‘수련 공백지’ 상태가 지속됐다. 전통적 수련권이던 ▲대구·경북(−70%) ▲부산·울산·경남(−62.5%) ▲전남·광주(−66.7%)에서도 대규모 유출이 발생했다. 그 결과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에서 1~4년차가 모두 갖춰진 수련병원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해당 권역의 대표 수련병원들이 연차별 교육 기능을 상실해, 전통적 수련체계가 붕괴가 된 것. 비수도권 야간·응급 수술 라인 유지와 교육 인증이 어려워졌다. 지역 우수 인력 유출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심장수술을 시행하는 89개 병원 중 전공의가 한 명이라도 있는 곳은 28에서 21곳으로 줄었다. 현재 76%(68곳)가 전공의 없이 운영되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5→3), 부산·울산·경남(4→2)에서만 네 곳이 전공의 제로 상태에 빠졌다.



이미지
의정갈등 전후 지역별 전공의 현황 그래프. 총 107명에서 68명으로 감소했다./사진=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실
상급종합병원 중에서도 심장혈관흉부외과 전공의가 있는 병원 비율은 44.7%에 불과하고, 국립대학병원 17개(분원 포함) 중 흉부외과 전공의가 수련하는 병원은 52.9%다.

전공의가 2년 연속 수련을 받을 수 있는 병원도 14곳에서 9곳으로 급감했다. 수도권 이외에는 3곳(부울경 1, 대전·충남 2)만 다년차 수련이 가능하다.


의료계에서는 사실상 ‘지역 전공의 수련 → 대형병원 전임의 수련 → 지역 복귀’라는 인력 순환 사다리가 단절됐다고 평가한다.

이주영 의원은 “인력유출·지원포기의 근본적 원인 해결 없는 정치적 전시성 지원, 면피성 역할 지정만으로는 결코 문제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며 "누구라도 지원할 수 있고 유능한 인력이 더욱 종사하고 싶은 자생력 강한 의료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