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리바이오는 오는 10월 서울에서 열리는 세계신경과학회(WCN 2025)에서 경구용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AR1001’의 연구 성과 두 편을 발표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 아리바이오는 ▲외상으로 손상된 뇌신경에 대한 PDE5 억제제 AR1001의 보호 효과 ▲AR1001 임상3상 시험 선별 코호트에서 혈장 pTau-217 결과와 아밀로이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PET)의 일치성에 대한 연구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아리바이오는 올해 열린 미국 글로벌 생명과학 콘퍼런스, 바이오USA, AD&PD, AAIC 등 굵직한 국제대회와 뇌신경과학 관련 학회에서 AR1001의 연구 성과를 연이어 발표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임상 3상 종료와 톱라인 발표를 앞두고 과학적 근거와 임상적 유효성, 적응증 확대 연구 결과를 소개 중이다.
아리바이오 프레드 킴 미국지사장은 “이번 연구로 AR1001이 알츠하이머병을 넘어 퇴행성 뇌질환 전반으로 확장될 수 있는 커다란 잠재력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한편, 세계신경과학회 2년 마다 열리는 신경과학 분야 최대 규모의 국제 학술대회다. 신경계 질환의 최신 연구와 치료법, 정책 등의 연구 전반을 다룬다. 올해는 10월 12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며, 전 세계 100여개 국가에서 신경과학자 5000여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학회에서 아리바이오는 ▲외상으로 손상된 뇌신경에 대한 PDE5 억제제 AR1001의 보호 효과 ▲AR1001 임상3상 시험 선별 코호트에서 혈장 pTau-217 결과와 아밀로이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PET)의 일치성에 대한 연구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아리바이오는 올해 열린 미국 글로벌 생명과학 콘퍼런스, 바이오USA, AD&PD, AAIC 등 굵직한 국제대회와 뇌신경과학 관련 학회에서 AR1001의 연구 성과를 연이어 발표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임상 3상 종료와 톱라인 발표를 앞두고 과학적 근거와 임상적 유효성, 적응증 확대 연구 결과를 소개 중이다.
아리바이오 프레드 킴 미국지사장은 “이번 연구로 AR1001이 알츠하이머병을 넘어 퇴행성 뇌질환 전반으로 확장될 수 있는 커다란 잠재력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한편, 세계신경과학회 2년 마다 열리는 신경과학 분야 최대 규모의 국제 학술대회다. 신경계 질환의 최신 연구와 치료법, 정책 등의 연구 전반을 다룬다. 올해는 10월 12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며, 전 세계 100여개 국가에서 신경과학자 5000여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