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당서울대병원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헬스미래추진단이 주관하는 ‘2025년도 제2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의 연구 과제 주관 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극초고령사회에서의 노쇠에 대한 AI 기반 예방적 돌봄 서비스 개발’로, 연구팀은 ‘지역 사회 돌봄을 위한 멀티 모달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노쇠 관리 예방 서비스’ 과제를 제안했다.
본 과제는 다차원적 의료 및 건강 데이터를 결합한 멀티 모달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해 노쇠 발생 위험도를 정밀하게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노인 건강 종합 평가 ▲맞춤형 약물·운동·영양 중재 ▲노인 인구 대상 건강 관리 플랫폼을 개발해 노쇠로 인한 건강 악화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과제의 수행 기간은 2025년 7월부터 2029년 12월까지이며, 연구팀에게는 최대 127.5억 원의 정부 연구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책임 연구자인 정세영 교수(가정의학과, 정보화실장)를 중심으로 노인병내과, 재활의학과 등 임상 전문 연구진으로 팀을 구성했다. 또한, 세브란스병원, 분당차병원 등 주요 의료기관과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간호대학·약학대학, 연세대 예방의학과가 참여하는 다학제 컨소시엄을 통해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헬스케어·AI 전문 기업으로는 차헬스케어, 원스글로벌, 알에스리햅, 더존비즈온, 엑소시스템즈 등이 협력해 서비스 개발과 사업화를 함께 추진한다.
개발된 서비스는 지역 사회 내 1·2·3차 의료기관과 돌봄 현장에서 실증 연구를 거친 뒤, 전국 단위로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가 생애 전환기 검진에 노쇠 평가를 위한 표준 규격을 반영하고, 지역 사회 통합 돌봄과 국가 보건 정책과의 연계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실질적인 제도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연구책임자인 분당서울대병원 정보화실장 정세영 교수(가정의학과)는 이번 과제 선정에 대해 “본 과제는 의료에 AI를 접목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현 정부의 정책 방향과 일치한다”며 “양질의 노인 평가 및 관리 서비스를 AI를 통해 모든 국민에게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고 밝혔다.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극초고령사회에서의 노쇠에 대한 AI 기반 예방적 돌봄 서비스 개발’로, 연구팀은 ‘지역 사회 돌봄을 위한 멀티 모달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노쇠 관리 예방 서비스’ 과제를 제안했다.
본 과제는 다차원적 의료 및 건강 데이터를 결합한 멀티 모달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해 노쇠 발생 위험도를 정밀하게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노인 건강 종합 평가 ▲맞춤형 약물·운동·영양 중재 ▲노인 인구 대상 건강 관리 플랫폼을 개발해 노쇠로 인한 건강 악화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과제의 수행 기간은 2025년 7월부터 2029년 12월까지이며, 연구팀에게는 최대 127.5억 원의 정부 연구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책임 연구자인 정세영 교수(가정의학과, 정보화실장)를 중심으로 노인병내과, 재활의학과 등 임상 전문 연구진으로 팀을 구성했다. 또한, 세브란스병원, 분당차병원 등 주요 의료기관과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간호대학·약학대학, 연세대 예방의학과가 참여하는 다학제 컨소시엄을 통해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헬스케어·AI 전문 기업으로는 차헬스케어, 원스글로벌, 알에스리햅, 더존비즈온, 엑소시스템즈 등이 협력해 서비스 개발과 사업화를 함께 추진한다.
개발된 서비스는 지역 사회 내 1·2·3차 의료기관과 돌봄 현장에서 실증 연구를 거친 뒤, 전국 단위로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가 생애 전환기 검진에 노쇠 평가를 위한 표준 규격을 반영하고, 지역 사회 통합 돌봄과 국가 보건 정책과의 연계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실질적인 제도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연구책임자인 분당서울대병원 정보화실장 정세영 교수(가정의학과)는 이번 과제 선정에 대해 “본 과제는 의료에 AI를 접목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현 정부의 정책 방향과 일치한다”며 “양질의 노인 평가 및 관리 서비스를 AI를 통해 모든 국민에게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