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위험 32%, 자궁내막암 3.78배"

20·30대 지방간 환자의 조기 암 발병 위험이 비질환자보다 2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간은 간세포에 지방이 과도하게 쌓이는 병으로 지방간염이나 간경화로 발전, 간암으로까지 악화할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주로 음주가 원인으로 알려졌지만, 술을 잘 마시지 않더라도 비만·당뇨병·고지혈증 등 대사질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최근 서구화한 식습관과 운동 부족 등으로 젊은 연령대의 유병률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국내 연구에 따르면 20·30대 젊은 성인 10명 중 1명이 고도의 지방간 지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문준호 교수와 고려대 의대 정석송 교수, 서울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김원 교수 연구팀은 2013∼2014년 기준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30대 287만7245명의 향후 10년간 소화기·비뇨생식기·호흡기 등 23종 암 발병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방간 환자의 암 발병 위험은 비질환자보다 2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 보면 알코올성 지방간의 경우 21%, 대사이상성 지방간은 19%, 복합성 지방간은 12%씩 각각 위험이 증가했다.
특히 비만 관련 암의 위험이 크게 증가했는데, 대표적으로 비만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대장암의 경우 지방간환자는 위험도가 비질환자보다 최대 32% 높았다. 그 외 신장암은 53%, 갑상선암은 36%까지 위험도가 증가했으며 지방간환자의 자궁내막암 위험도는 비질환자의 최대 3.78배에 달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최근 청년층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비만과 지방간이 50세 미만 암 발병의 고위험 인자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저자인 문준호 교수는 "50세 이전에 발생하는 암은 진행이 빠르고 공격성이 강해, 조기 진단이나 치료 여부에 따라 예후가 극명하게 달라질 수 있다"며 "비만·지방간은 증상을 자각하기 어려워 방치하는 환자가 많으므로 젊은층 진단·모니터링 비율을 높일 수 있는 검진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임상 위장병학-간장학(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에 최근 게재됐다.
지방간은 간세포에 지방이 과도하게 쌓이는 병으로 지방간염이나 간경화로 발전, 간암으로까지 악화할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주로 음주가 원인으로 알려졌지만, 술을 잘 마시지 않더라도 비만·당뇨병·고지혈증 등 대사질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최근 서구화한 식습관과 운동 부족 등으로 젊은 연령대의 유병률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국내 연구에 따르면 20·30대 젊은 성인 10명 중 1명이 고도의 지방간 지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문준호 교수와 고려대 의대 정석송 교수, 서울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김원 교수 연구팀은 2013∼2014년 기준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30대 287만7245명의 향후 10년간 소화기·비뇨생식기·호흡기 등 23종 암 발병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방간 환자의 암 발병 위험은 비질환자보다 2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 보면 알코올성 지방간의 경우 21%, 대사이상성 지방간은 19%, 복합성 지방간은 12%씩 각각 위험이 증가했다.
특히 비만 관련 암의 위험이 크게 증가했는데, 대표적으로 비만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대장암의 경우 지방간환자는 위험도가 비질환자보다 최대 32% 높았다. 그 외 신장암은 53%, 갑상선암은 36%까지 위험도가 증가했으며 지방간환자의 자궁내막암 위험도는 비질환자의 최대 3.78배에 달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최근 청년층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비만과 지방간이 50세 미만 암 발병의 고위험 인자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저자인 문준호 교수는 "50세 이전에 발생하는 암은 진행이 빠르고 공격성이 강해, 조기 진단이나 치료 여부에 따라 예후가 극명하게 달라질 수 있다"며 "비만·지방간은 증상을 자각하기 어려워 방치하는 환자가 많으므로 젊은층 진단·모니터링 비율을 높일 수 있는 검진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임상 위장병학-간장학(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