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 명절에는 낯선 환경과 장거리 이동으로 아이들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발열·호흡곤란·탈수 등은 대표적인 소아 응급질환으로, 부모가 미리 알아두면 당황하지 않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발열, 가장 흔한 응급 원인
◇발열, 가장 흔한 응급 원인
영유아가 응급실을 찾는 가장 흔한 이유는 발열이다. 원인은 바이러스·세균 감염이 대부분이며, 폐렴·수족구·요로감염 등이 대표적이다. 발열은 직장 체온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직장 체온이 가장 정확하지만 불편해 최근에는 고막체온계가 널리 쓰이며, 탐침이 귀 안쪽까지 닿아야 정확하다. 서울성모병원 소아응급실(응급의학과) 배우리 교수는 “특히 열이 날 때 경련이 동반되는 열성 경련이 15분 이상 지속되면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며 “3개월 미만 영아의 발열, 아이의 활력이 뚜렷하게 떨어질 때, 발열이 4~5일 이상 계속될 때도 지체 없이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호흡곤란·탈수, 놓치면 위험
발열 외에도 ▲호흡곤란 ▲입술이 파래지는 청색증 ▲자다가 깰 정도의 복통·두통 ▲반복되는 경련 발작 ▲의식 저하 등은 모두 응급 상황이다. 탈수 역시 응급실을 찾는 흔한 원인이다. 아이들은 성인보다 탈수가 더 빨리 진행되며, 충분히 먹거나 마시지 못하면 소변량이 줄고 입안이 마르며, 심하면 체중이 감소할 수 있다. 배우리 교수는 “이럴 때는 물이나 수액을 조금씩 자주 보충하고, 식사가 어렵다면 주스나 이온 음료가 저혈당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장거리 이동·환경 변화로 소화불량·안전사고 위험↑
명절에는 장거리 이동과 환경 변화로 소화불량·알레르기·안전사고가 잦다. 성묘 중 벌레에 물려 아이가 호흡곤란을 보이거나 창백해지면 곧바로 119에 연락해야 한다. 야외에서는 직사광선이나 차 안에 아이를 방치하지 말고, 얼굴이 붉고 처지면 시원한 곳으로 옮겨 수분을 조금씩 보충한다. 낙상이나 교통사고로 골절, 목·허리 손상이 의심되면 움직이지 않게 하고 119를 부르는 것이 안전하다.
◇이물질 막힘, 나이별 대처 달라
대가족이 모이는 자리에서는 음식이나 작은 물건이 목에 걸리는 사고도 잦다. 음식은 잘게 썰어 천천히 먹이고, 움직이거나 웃으며 먹지 않게 지도해야 한다. 이물질이 목에 걸렸다면 기도를 확보하는 즉각적인 응급조치가 중요하다. 배 교수는 “1세 미만 영아는 엎드린 자세에서 등을 두드리고, 젖꼭지 아래를 두 손가락으로 눌러 제거해야 한다”며 “1세 이상은 하임리히법(복부 밀어올리기)을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단, 이물질이 보이지 않을 때 손가락으로 억지로 꺼내려 해서는 안 된다.
◇응급실 이후 관리도 중요
◇호흡곤란·탈수, 놓치면 위험
발열 외에도 ▲호흡곤란 ▲입술이 파래지는 청색증 ▲자다가 깰 정도의 복통·두통 ▲반복되는 경련 발작 ▲의식 저하 등은 모두 응급 상황이다. 탈수 역시 응급실을 찾는 흔한 원인이다. 아이들은 성인보다 탈수가 더 빨리 진행되며, 충분히 먹거나 마시지 못하면 소변량이 줄고 입안이 마르며, 심하면 체중이 감소할 수 있다. 배우리 교수는 “이럴 때는 물이나 수액을 조금씩 자주 보충하고, 식사가 어렵다면 주스나 이온 음료가 저혈당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장거리 이동·환경 변화로 소화불량·안전사고 위험↑
명절에는 장거리 이동과 환경 변화로 소화불량·알레르기·안전사고가 잦다. 성묘 중 벌레에 물려 아이가 호흡곤란을 보이거나 창백해지면 곧바로 119에 연락해야 한다. 야외에서는 직사광선이나 차 안에 아이를 방치하지 말고, 얼굴이 붉고 처지면 시원한 곳으로 옮겨 수분을 조금씩 보충한다. 낙상이나 교통사고로 골절, 목·허리 손상이 의심되면 움직이지 않게 하고 119를 부르는 것이 안전하다.
◇이물질 막힘, 나이별 대처 달라
대가족이 모이는 자리에서는 음식이나 작은 물건이 목에 걸리는 사고도 잦다. 음식은 잘게 썰어 천천히 먹이고, 움직이거나 웃으며 먹지 않게 지도해야 한다. 이물질이 목에 걸렸다면 기도를 확보하는 즉각적인 응급조치가 중요하다. 배 교수는 “1세 미만 영아는 엎드린 자세에서 등을 두드리고, 젖꼭지 아래를 두 손가락으로 눌러 제거해야 한다”며 “1세 이상은 하임리히법(복부 밀어올리기)을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단, 이물질이 보이지 않을 때 손가락으로 억지로 꺼내려 해서는 안 된다.
◇응급실 이후 관리도 중요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고 돌아온 뒤에도 아이 상태를 세심히 살펴야 한다. 약은 지시에 따라 정확히 복용하고, 증상 변화를 기록해두면 다음 진료에 도움이 된다. 아이가 다시 축 처지거나 의식이 흐려지고, 반복 구토·호흡곤란·경련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배 교수는 “연휴 전 방문할 지역의 응급실·당직 의료기관 위치를 미리 확인하면 도움이 된다”며 “의료진을 믿고 약 복용법과 위험 신호를 숙지하는 것이 위급 상황 악화를 막고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