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일상에서 청소용으로 쓰이는 ‘매직블록(멜라민 스펀지)’이 마모될 때마다 미세플라스틱을 대량으로 배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상에서 청소용으로 쓰이는 ‘매직블록(멜라민 스펀지)’이 마모될 때마다 미세플라스틱을 대량으로 배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칭다오대 연구팀은 멜라민 스펀지가 실제 사용 중 얼마나 많은 미세플라스틱을 내놓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기공(빈 공간) 밀도가 다른 멜라민 스펀지를 여러 거칠기의 금속 표면에 문지르며 마모 과정을 재현했고, 떨어져 나온 조각의 성분·형태·개수를 분석했다.

그 결과, 스펀지가 마모되며 생긴 조각은 ‘폴리(멜라민-폼알데하이드)’ 성분의 미세플라스틱 섬유로 확인됐다. 길이는 10~405㎛ 범위였다. 표면이 거친 금속일수록 더 많이 발생했고, 기공 밀도가 높은 스펀지일수록 배출량이 많았다. 스펀지 1g이 마모될 때 최대 650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왔고, 전 세계 소비량을 고려하면 약 4.9조 개가 배출될 수 있다는 추정치도 제시됐다.


연구팀은 “매직블록 같은 청소용 스펀지가 미세플라스틱의 새로운 배출원이라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다만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환경 내 장기적 축적 위험은 앞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미세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5㎜ 이하인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말한다. 크기가 작아 하수처리 시설을 거쳐도 걸러지지 않고 바다·강·토양에 퍼지며,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과 동물의 몸속에 축적될 수 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은 염증 반응을 일으키거나 세포 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중금속·유해 화학물질을 흡착해 함께 체내에 들어올 위험도 지닌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환경 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