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트레스는 누구나 겪는 일상의 일부다. 업무, 가정, 인간관계 등으로 가끔 불안을 느끼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이런 불안이 오래 지속되거나 일상에 지장을 줄 정도로 강해진다면, 이는 단순한 스트레스가 아니라 불안장애일 수 있다.
임상심리학자 블레이크 자카린 박사는 “불안이 없다면 우리는 회의나 시험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타인의 시선을 아예 신경 쓰지 않게 될 것”이라며 “그러나 불안이 도움되는 수준을 넘어 삶을 방해하기 시작하면 전문가 상담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불안장애의 증상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누군가는 공황발작을 겪고, 또 다른 이는 특정 공포증을 보인다. 심지어 미루는 습관이나 사소한 회피 행동도 불안의 신호일 수 있다. 전문가들이 꼽은 대표적인 7가지 징후는 다음과 같다.
▶회피·미루기=피곤하다는 이유로 모임이나 네트워킹 자리를 자꾸 피한다면 단순한 귀찮음이 아니라 불안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프로젝트를 계속 미루거나 마감에 자주 늦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자카린 박사는 “불안 때문에 업무 자체를 마주하기 힘들다면 불안장애의 신호로 볼 수 있다”고 말한다.
▶지나친 확인·의심=결정을 내린 뒤에도 계속 의문을 품고, 주변 사람들에게 확인을 구하거나 인터넷을 끊임없이 검색하는 경우다. 드렉셀대 심리학과 크리스틴 네주 교수는 “강한 불안을 겪는 사람들은 자신을 끊임없이 의심하며 안심할 만한 확신을 찾으려 한다”고 설명한다.
▶불면증=잠이 오지 않는 밤은 누구에게나 있지만, 30분 이상 잠들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되거나 자주 깨서 다시 잠들기 어렵다면 불안이 수면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신호다. 낮 동안 피로가 심하다면 반드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하다.
▶위장 문제=불안으로 신체가 ‘투쟁·도피 반응’에 들어가면 소화 기능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통, 소화불량, 식욕 저하가 생길 수 있다.
▶두통·근육통=불안을 겪는 사람은 긴장으로 인해 근육이 지속적으로 뭉치면서 통증이나 두통을 경험할 수 있다. 자카린 박사는 “수면 부족과 겹쳐 증상을 악화시키기도 한다”고 말한다.
▶심장 두근거림=불안으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심장이 빨리 뛰고 호흡이 가빠진다. 땀이 나거나 어지럼증, 혈압 상승도 동반될 수 있다. 네주 교수는 “문제는 이런 증상을 사람들이 심장마비나 중증 질환으로 오해해 불안을 더 키우는 악순환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한다.
▶극심한 피로=밤에 숙면을 취해도 불안이 지속되면 몸이 ‘생존 모드’로 작동해 쉽게 지치게 된다. 자카린 박사는 “불안은 신체적으로도 큰 에너지를 소모하게 만들어 이유 없는 피로감을 유발한다”고 설명한다.
임상심리학자 블레이크 자카린 박사는 “불안이 없다면 우리는 회의나 시험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타인의 시선을 아예 신경 쓰지 않게 될 것”이라며 “그러나 불안이 도움되는 수준을 넘어 삶을 방해하기 시작하면 전문가 상담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불안장애의 증상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누군가는 공황발작을 겪고, 또 다른 이는 특정 공포증을 보인다. 심지어 미루는 습관이나 사소한 회피 행동도 불안의 신호일 수 있다. 전문가들이 꼽은 대표적인 7가지 징후는 다음과 같다.
▶회피·미루기=피곤하다는 이유로 모임이나 네트워킹 자리를 자꾸 피한다면 단순한 귀찮음이 아니라 불안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프로젝트를 계속 미루거나 마감에 자주 늦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자카린 박사는 “불안 때문에 업무 자체를 마주하기 힘들다면 불안장애의 신호로 볼 수 있다”고 말한다.
▶지나친 확인·의심=결정을 내린 뒤에도 계속 의문을 품고, 주변 사람들에게 확인을 구하거나 인터넷을 끊임없이 검색하는 경우다. 드렉셀대 심리학과 크리스틴 네주 교수는 “강한 불안을 겪는 사람들은 자신을 끊임없이 의심하며 안심할 만한 확신을 찾으려 한다”고 설명한다.
▶불면증=잠이 오지 않는 밤은 누구에게나 있지만, 30분 이상 잠들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되거나 자주 깨서 다시 잠들기 어렵다면 불안이 수면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신호다. 낮 동안 피로가 심하다면 반드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하다.
▶위장 문제=불안으로 신체가 ‘투쟁·도피 반응’에 들어가면 소화 기능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복통, 소화불량, 식욕 저하가 생길 수 있다.
▶두통·근육통=불안을 겪는 사람은 긴장으로 인해 근육이 지속적으로 뭉치면서 통증이나 두통을 경험할 수 있다. 자카린 박사는 “수면 부족과 겹쳐 증상을 악화시키기도 한다”고 말한다.
▶심장 두근거림=불안으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심장이 빨리 뛰고 호흡이 가빠진다. 땀이 나거나 어지럼증, 혈압 상승도 동반될 수 있다. 네주 교수는 “문제는 이런 증상을 사람들이 심장마비나 중증 질환으로 오해해 불안을 더 키우는 악순환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한다.
▶극심한 피로=밤에 숙면을 취해도 불안이 지속되면 몸이 ‘생존 모드’로 작동해 쉽게 지치게 된다. 자카린 박사는 “불안은 신체적으로도 큰 에너지를 소모하게 만들어 이유 없는 피로감을 유발한다”고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