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칫솔질은 공들여 해놓고 치약은 대충 헹구는 사람이 적지 않다. 치약을 제대로 헹궈내지 않으면 치아 착색이나 구취 등이 유발된다. 올바른 입 헹구기 습관을 소개한다.
강릉영동대 치위생과 연구팀이 밝힌 바로는, 칫솔질 후 입을 헹굴 땐 따뜻한 물을 사용하는 게 가장 좋다. 잇몸병이 없는 사람 30명이 20도의 찬물, 35도의 미지근한 물, 50도의 따뜻한 물로 각각 입을 헹궜을 때, 치태와 구취가 가장 많이 개선된 건 50도의 따뜻한 물에서였다.
치약에 든 세정 성분이 찬물보다 따뜻한 물에 더 잘 녹는다. 알프스치과 박경아 원장은 "다만 세정제를 더 잘 녹이겠다고 50도 이상의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건 오히려 잇몸에 자극을 준다"며 "약간 온기가 느껴질 정도의 따뜻한 물이 적당하다"고 말했다.
치약에는 치석제거와 광택을 위한 세마제, 계면활성제, 결합체, 습제, 향제, 감미제, 착색제, 방부제, 약제 등 여러 가지 화학 성분이 들어 있다. 그 중 계면활성제는 구강을 통해 섭취 시 비누나 세제를 먹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계면활성제는 피부 점막을 자극하는 것은 물론 위 점막을 벗겨내고 세포막을 녹여서 위염, 위장 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 게다가 계면활성제는 구강 내 점막을 건조시켜서 구취의 원인이 되는데 양치질 후 입안이 마르는 것을 느끼는 것도 이 때문이다. 양치질 후 과일을 먹으면 맛이 없는 것도, 계면활성제와 세마제라는 성분이 쓴 맛만 빼고 혀의 미각을 마비시키기 때문이다.
올바른 입 헹구기는 한 컵에 가득 담긴 물을 5회씩 총 두 컵으로 10회 정도 입을 헹구는 것이다.
같은 이유에서, 구강청결제로 가글을 한 뒤에도 꼭 입을 헹궈야 한다.
강릉영동대 치위생과 연구팀이 밝힌 바로는, 칫솔질 후 입을 헹굴 땐 따뜻한 물을 사용하는 게 가장 좋다. 잇몸병이 없는 사람 30명이 20도의 찬물, 35도의 미지근한 물, 50도의 따뜻한 물로 각각 입을 헹궜을 때, 치태와 구취가 가장 많이 개선된 건 50도의 따뜻한 물에서였다.
치약에 든 세정 성분이 찬물보다 따뜻한 물에 더 잘 녹는다. 알프스치과 박경아 원장은 "다만 세정제를 더 잘 녹이겠다고 50도 이상의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건 오히려 잇몸에 자극을 준다"며 "약간 온기가 느껴질 정도의 따뜻한 물이 적당하다"고 말했다.
치약에는 치석제거와 광택을 위한 세마제, 계면활성제, 결합체, 습제, 향제, 감미제, 착색제, 방부제, 약제 등 여러 가지 화학 성분이 들어 있다. 그 중 계면활성제는 구강을 통해 섭취 시 비누나 세제를 먹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계면활성제는 피부 점막을 자극하는 것은 물론 위 점막을 벗겨내고 세포막을 녹여서 위염, 위장 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 게다가 계면활성제는 구강 내 점막을 건조시켜서 구취의 원인이 되는데 양치질 후 입안이 마르는 것을 느끼는 것도 이 때문이다. 양치질 후 과일을 먹으면 맛이 없는 것도, 계면활성제와 세마제라는 성분이 쓴 맛만 빼고 혀의 미각을 마비시키기 때문이다.
올바른 입 헹구기는 한 컵에 가득 담긴 물을 5회씩 총 두 컵으로 10회 정도 입을 헹구는 것이다.
같은 이유에서, 구강청결제로 가글을 한 뒤에도 꼭 입을 헹궈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