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흔히 기름진 음식이 주범으로 알려져 있지만, 의외의 요인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끌어올린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을 만들고 호르몬·비타민D 합성에 쓰이는 필수 물질이다. 그러나 혈중 수치가 200mg/dL을 넘으면 심장병이나 뇌졸중 같은 심혈관 질환 위험이 커진다. 흔히 기름진 음식이 주범으로 알려져 있지만, 의외의 요인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끌어올린다. 미국 건강 매체 ‘헬스라인(Healthline)’이 이런 숨은 원인들을 소개했다.

◇커피, LDL 높이는 성분 포함
커피에는 ‘카페스톨’과 ‘카웨올’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촉진한다. 특히 프렌치프레스나 에스프레소처럼 종이 필터를 쓰지 않는 커피는 이 성분이 걸러지지 않아 영향을 더 크게 준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에 따르면 필터 없이 내린 커피를 하루 5잔 이상 마신 사람은 필터 커피를 마신 사람보다 LDL(나쁜 콜레스테롤) 수치가 평균 8~10% 높았다. 콜레스테롤 관리가 필요하다면 하루 3~4잔 이내로 마시고, 가능하면 필터 커피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스트레스, 호르몬 불균형으로 상승
스트레스가 쌓이면 코르티솔 같은 호르몬이 과다 분비돼 지방 대사가 깨지면서 콜레스테롤이 오른다. 핀란드 헬싱키대 연구에서는 직장 내 스트레스가 큰 집단에서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평균 15mg/dL 높게 나타났다.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수면으로 스트레스를 다스리는 것이 중요하다.

◇흡연, HDL 감소로 동맥경화 촉진
흡연은 혈관을 손상시키고 HDL(좋은 콜레스테롤)을 낮춘다. 또 LDL이 산화되는 비율을 높여, 동맥경화를 촉진한다. 동맥경화는 혈관 벽이 두꺼워지고 탄력을 잃어 혈류가 원활히 흐르지 못하는 상태다. 미국심장협회(AHA) 보고서에 따르면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HDL 수치가 5~10% 낮고, LDL 산화 지표는 두 배 이상 높았다. 금연은 콜레스테롤과 심혈관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약물, 부작용으로 지질 대사 교란
일부 약물은 부작용으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인다. 스테로이드제는 지방 대사와 인슐린 작용을 방해하고, 이뇨제는 체내 전해질 균형을 깨뜨려 지질 대사에 영향을 준다. 경구 피임약은 호르몬 작용으로 중성지방과 LDL을 높일 수 있으며, 일부 항바이러스제도 간 대사에 영향을 준다. 실제로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에서는 스테로이드제를 6개월 이상 복용한 환자의 30%에서 LDL 수치가 정상 범위를 넘었다. 장기간 약물을 쓰는 경우 정기적인 혈액검사가 필요하다.

◇임신, 생리적 변화로 인한 상승
임신 중에는 태아 발달과 호르몬 합성에 필요한 원료를 공급하기 위해 콜레스테롤 수치가 올라간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연구에 따르면 임신 3기 여성의 평균 총콜레스테롤 수치는 비임신 여성보다 30~40% 높았다. 대부분 출산 후 정상으로 돌아오지만, 임신성 고지혈증이 나타나면 식습관 관리와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 임신성 고지혈증은 호르몬 변화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상태다.

◇급격한 체중 감소, 간 대사 변화로 일시적 상승
짧은 기간에 체중을 많이 줄이면 간에서 지방이 빠르게 분해되면서 콜레스테롤이 혈중으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일시적으로 수치가 높아질 수 있다. 일본 교토대 연구에서는 3개월간 저열량 다이어트를 한 참가자의 25%에서 LDL 수치가 오히려 증가했다. 체중 감량은 서서히 진행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