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경북대병원./사진=경북대병원 제공
코로나19 충격에서 회복하던 경북대학교병원이 의대 정원 증원을 둘러싼 의정 갈등으로 결국 파탄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최근에는 간호사 대규모 퇴직과 전공의 모집난, 노조 파업까지 겹치며 지역 필수의료 붕괴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이 경북대병원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경북대병원은 2023년 상반기 –123억 원 적자를 시작으로 2025년 상반기 –444억 원까지 5개 반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2024년 전체 손실액은 1039억 원에 달했다.

병상 가동률은 2021년 75.2%에서 2025년 상반기 50.4%로 25%p나 떨어졌다. 같은 기간 입원환자 수는 49만7000명에서 16만3000명으로 67% 급감했다. 수술 건수 역시 3만4000건에서 1만 건 수준으로 70% 감소했고, 외래 진료 건수도 135만 건에서 55만 건으로 60% 줄었다.

이 같은 지표 악화는 전공의·전임의 이탈에 따른 진료 축소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인력 공백이 수술·입원 기능 위축으로 이어지면서 환자 유출이 가속화됐고, 결국 병원의 수익 기반을 뿌리째 흔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재정 위기와 함께 인력난도 심각한 상황이다. 최근 5년간 경북대병원 본원·분원을 합쳐 간호사 801명이 퇴직했으며, 그중 절반 이상이 5년을 채우지 못한 저연차였다. 교대근무 스트레스와 과중한 업무가 원인으로 꼽힌다. 전공의 모집도 부진하다. 2025년 상반기 모집 결과, 정원 86명 중 4명만 지원했다. 일부 전공의 복귀 소식이 있긴 하지만, 여전히 필수 진료과 인력 공백은 이어지고 있다.

경북대병원은 오는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공식 의료지원 병원으로 지정됐다. 응급의료 대응과 진료소 운영, 상황실 관리 등을 담당하게 되지만, 내부적으로는 인력난과 적자가 겹쳐 역량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을지 우려가 제기된다.

김문수 의원은 “경북대병원이 코로나 위기에서 회복하던 시점에 의정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2년 넘게 적자와 인력난을 동시에 겪고 있다”며 “이는 단순한 경영 문제가 아니라 영남권 필수의료 체계 전반의 붕괴 신호”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경북대병원은 대구·경북 지역민의 마지막 공공의료 안전망”이라며 “정부가 국정과제에 담은 권역 거점병원 육성과 필수의료 지원 대책을 조속히 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