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저런 이유로 몸이 아플 때 진통제 한 알이면 컨디션이 돌아오곤 한다. 때로는 심한 두통이나 생리통을 잡으려 하루에 여러 알을 연거푸 복용하기도 한다. 친근한 약이지만, 과다 복용 시 꽤 심한 부작용이 있으니 주의해야겠다.
진통제는 흔히 마약성 진통제와 비마약성 진통제로 나뉜다. 이중 우리가 흔히 먹는 것은 비마약성 진통제로, 크게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NSAID)와 아세트아미노펜 진통제로 나뉜다.
아세트아미노펜은 1일 최대 복용량이 4000mg이다. 과다 복용하면 간 독성을 일으켜 급성간염을 유발할 수 있다. 간염은 그 자체로도 위험한데, 코로나 19나 독감 등 질병 때문에 진통제를 먹다가 간염이 생긴 경우 간염 탓에 항생제를 제대로 쓰지 못할 수 있어 더욱 위험하다. 간부전으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 미국 급성 간부전 연구 그룹이 조사한 데이터에 따르면, 아세트아미노펜은 급성 간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전체 사례의 45.8%를 차지했다.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덱시부프로펜 등 NSAID는 성분에 따라 최대복용량이 조금씩 다르다. 이부프로펜은 3200mg, 덱시부프로펜은 1200mg, 나프록센은 1250mg이다. 과다 복용하면 소화불량이나 속 쓰림이 생길 수 있다. NSAID는 통증을 유발하는 생리 활성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방해하는데, 이 과정에서 위산 분비가 증가하고, 점막을 보호하는 점액 분비가 줄어든다. 이에 위 방어막이 약해져 위점막 손상이 일어나더라도 약의 진통 효과로 인해 별 증상을 못 느낄 수도 있으나, 50~60%는 메슥거림이나 소화불량, 속 쓰림을 경험하게 된다. 3~4%는 출혈이나 천공으로 병원을 찾게 된다.
NSAID가 콩팥에 무리를 줄 수도 있다.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한승석 교수는 과거 대한신장학회 유튜브 채널 ‘내 신장이 콩팥콩팥’에서 “NSAID의 염증 억제 기전이 통팥 혈류를 방해해 콩팥 기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콩팥 기능이 떨어진 사람은 임의로 진통제를 복용하지 말고, 의사와 상의한 다음 먹어야 한다.
두 가지 유형의 진통제 모두 과다 복용하면 청력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미국 브리검여성병원 샤론 커한 교수팀이 1995년부터 2009년까지 31~48세 여성 간호사 6만 2261명을 대상으로 1주일에 진통제(이부프로펜·아세트아미노펜)를 복용하는 횟수와 청력 이상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전체의 16.1%(1만 12명)에게서 청력 이상이 발견됐다. 청력 이상이 생길 위험은 진통제를 1주일에 1회 미만 복용한 사람과 비교했을 때, 1주일에 2~3회 복용하는 사람이 17~20%, 1주일에 4~5회 복용하는 사람이 28~29% 높았다.
한 유형의 진통제를 복용했는데도 통증이 잦아들지 않는다면, 같은 종류의 약을 또 먹지 말고 다른 계열 진통제를 먹어야 한다. 물론, 이때도 약을 추가 복용하기 전 두 시간 정도의 시간 간격은 둬야 한다. 집에 한 계열 진통제밖에 없다면 아세트아미노펜끼리는 네 시간 이상,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끼리는 여섯 시간 이상 복용 간격을 두어야 한다. 복용 설명서를 읽은 다음 상한 복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진통제는 흔히 마약성 진통제와 비마약성 진통제로 나뉜다. 이중 우리가 흔히 먹는 것은 비마약성 진통제로, 크게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NSAID)와 아세트아미노펜 진통제로 나뉜다.
아세트아미노펜은 1일 최대 복용량이 4000mg이다. 과다 복용하면 간 독성을 일으켜 급성간염을 유발할 수 있다. 간염은 그 자체로도 위험한데, 코로나 19나 독감 등 질병 때문에 진통제를 먹다가 간염이 생긴 경우 간염 탓에 항생제를 제대로 쓰지 못할 수 있어 더욱 위험하다. 간부전으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 미국 급성 간부전 연구 그룹이 조사한 데이터에 따르면, 아세트아미노펜은 급성 간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전체 사례의 45.8%를 차지했다.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덱시부프로펜 등 NSAID는 성분에 따라 최대복용량이 조금씩 다르다. 이부프로펜은 3200mg, 덱시부프로펜은 1200mg, 나프록센은 1250mg이다. 과다 복용하면 소화불량이나 속 쓰림이 생길 수 있다. NSAID는 통증을 유발하는 생리 활성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방해하는데, 이 과정에서 위산 분비가 증가하고, 점막을 보호하는 점액 분비가 줄어든다. 이에 위 방어막이 약해져 위점막 손상이 일어나더라도 약의 진통 효과로 인해 별 증상을 못 느낄 수도 있으나, 50~60%는 메슥거림이나 소화불량, 속 쓰림을 경험하게 된다. 3~4%는 출혈이나 천공으로 병원을 찾게 된다.
NSAID가 콩팥에 무리를 줄 수도 있다.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한승석 교수는 과거 대한신장학회 유튜브 채널 ‘내 신장이 콩팥콩팥’에서 “NSAID의 염증 억제 기전이 통팥 혈류를 방해해 콩팥 기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콩팥 기능이 떨어진 사람은 임의로 진통제를 복용하지 말고, 의사와 상의한 다음 먹어야 한다.
두 가지 유형의 진통제 모두 과다 복용하면 청력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미국 브리검여성병원 샤론 커한 교수팀이 1995년부터 2009년까지 31~48세 여성 간호사 6만 2261명을 대상으로 1주일에 진통제(이부프로펜·아세트아미노펜)를 복용하는 횟수와 청력 이상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전체의 16.1%(1만 12명)에게서 청력 이상이 발견됐다. 청력 이상이 생길 위험은 진통제를 1주일에 1회 미만 복용한 사람과 비교했을 때, 1주일에 2~3회 복용하는 사람이 17~20%, 1주일에 4~5회 복용하는 사람이 28~29% 높았다.
한 유형의 진통제를 복용했는데도 통증이 잦아들지 않는다면, 같은 종류의 약을 또 먹지 말고 다른 계열 진통제를 먹어야 한다. 물론, 이때도 약을 추가 복용하기 전 두 시간 정도의 시간 간격은 둬야 한다. 집에 한 계열 진통제밖에 없다면 아세트아미노펜끼리는 네 시간 이상,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끼리는 여섯 시간 이상 복용 간격을 두어야 한다. 복용 설명서를 읽은 다음 상한 복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