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국산 고구마 ‘통채루’의 잎, 잎자루, 줄기 등 지상부 추출물이 근력 개선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국산 개발 품종 고구마 ‘통채루’의 잎, 잎자루(고구마 순), 줄기 추출물이 근력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식량과학원 발효가공식품과 연구팀이 근육세포에 통채루 줄기와 잎 추출물을 투여한 뒤 근육세포에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근육세포 생성에 관여하는 단백질(MHC, MyoD, MyoG) 발현은 증가하고 근육세포 분해와 관련된 단백질(Atrogin-1, MuRF-1, ubiquitin) 발현은 억제돼 근력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팀의 직전 실험에서도 근감소를 유도한 실험군에 통채루 추출물을 투여하자 근감소로 줄어든 제지방량 비율이 정상 수치에 가깝게 회복된 바 있다. 전체적인 근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악력은 대조군(오미자 추출물 투여)에 비해 20.9% 향상됐다. 오미자 추출물은 근력 개선 기능성을 인정받은 개별인정원료다. 근육 손상을 나타내는 지표인 LDH와 CPK 수치가 각각 34.7%, 23.4% 감소했으며 장딴지근과 대퇴사두근 근육 단면적이 각각 14.8%, 41.5% 증가했다.


연구팀은 통채루 잎, 줄기 추출물의 독성 평가도 진행했다. 그 결과, 잎과 줄기 모두에서 독성 농도가 낮게 나타나 안전성 있는 재료임을 확인했다.

연구를 주도한 발효가공식품과 송진 과장은 “이번 연구 결과로 고구마 잎, 잎자루, 줄기에 근육 분해 억제와 근육 생성을 촉진하는 두 가지 효과가 동시에 있음을 밝혀냈다”며 “앞으로 발효기술 접목 등 과학적 근거자료를 추가 구축해 통채루를 근 감소를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고구마는 식물 전체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흔히 쪄 먹는 고구마는 덩이뿌리 부분이며 줄기, 잎, 잎자루는 나물로 무쳐 먹으면 된다.

☞제지방량
체중에서 체지방을 뺀 나머지 무게로 근육, 뼈, 혈액, 장기 등으로 구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