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한국인의 ‘노화불안’ 수준이 5점 만점에 3.23점 정도로 다소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인의 ‘노화 불안’ 수준이 5점 만점에 3.23점 정도로 다소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화 불안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건강, 경제력, 사회적 관계 등에서 부정적 변화를 겪을 것이라는 두려움과 걱정을 의미한다.

한양대 고령사회연구원은 지난해 전국 성인 남녀 42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했다. 노화 불안 수준은 9개 세부 요인과 43개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통해 평가됐다.

그 결과 5점 만점에 3.23점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세부 요인 가운데에는 ‘건강 상태 악화’(3.80점)와 ‘경제력 상실’(3.57점)에 대한 불안이 가장 두드러졌다. 연구원은 “길어진 노년기에 수반되는 만성질환, 치매 등 건강 문제와 소득 단절이나 경제활동 기회 상실 우려가 핵심적인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이어 ‘이동성 저하’(3.36점), ‘죽음과 상실감’(3.21점), ‘외모 변화’(3.16점), ‘노인 낙인 인식’(3.13점), ‘사회적 소외’(3.08점), ‘취미·여가 활동 결핍’(2.89점), ‘관계적 빈곤’(2.84점) 등의 순으로 불안도가 컸다.

연령대별로 보면 20∼30대 청년층의 불안 수준이 3.38점으로, 오히려 40∼50대 중년층(3.19점)이나 60대 이상 고령층(3.12점)보다 높았다. 이에 대해 연구원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노후 준비에 대한 부담, 노화 자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청년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성별로는 평균 수명이 더 긴 여성(3.28점)이 남성(3.17점)보다 노화불안 수준이 더 높았고, 미혼(3.33점)의 노화불안 수준이 기혼(3.17점)보다 높았다. 또 소득이 낮을수록 불안이 심해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에선 3.30점, 고소득층인 4분위에선 3.15점으로 나타났다.

한양대 이삼식 고령사회연구원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정책적으로뿐 아니라 개인적으로 노후를 준비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