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하버드 의대 출신 내과 전문의가 너무 익은 바나나가 장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과 더 미러 등에 따르면 하버드 의대 출신 내과 전문의 사우라브 세티 박사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통해 장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일들을 소개했다.
세티 박사는 “모든 과일이 장에 이로운 것은 아니며, 일부는 소화 기관에 오히려 부담을 줄 수 있다”며 대표적으로 ‘너무 익은 바나나’를 꼽았다. 그는 “바나나가 지나치게 익으면 당분이 급격히 늘어나 혈당을 빠르게 올리고, 장내 유익균에게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어 “복부 팽만감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했다.
실제로 ‘PLOS ONE’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바나나는 숙성될수록 저항성 전분과 식이섬유가 줄어들고 당분이 증가한다. 저항성 전분은 식이섬유와 유사한 역할을 하며 혈당 조절, 장 건강, 체중 관리 등 다양한 건강상 이점을 제공한다. 반대로 덜 익은 바나나는 상대적으로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장 건강에 덜 해롭다. 식이섬유는 심혈관 질환, 뇌졸중, 제2형 당뇨병, 대장암 위험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다.
세티 박사가 장 건강에 좋은 과일 1순위로 꼽은 것은 블루베리였다. 블루베리에는 천연 항산화 성분인 프테로스틸벤이 들어 있어 대장 염증을 억제하고 장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 또한 풍부한 식이섬유로 변비 해소에도 효과적이다. 뒤이어 석류가 선정됐다. 학술지 Molecules에 따르면, 석류의 폴리페놀은 장내 미생물이 발효해 만든 대사산물이 장내 환경 개선과 대사 활성 증가에 기여한다. 이 밖에도 키위 역시 수용성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 완화와 배변 횟수 증가에 도움을 주는 과일로 소개됐다. 규칙적인 배변을 하지 못하면 독소가 장벽에 오래 머물러 소화기암 발생 위험이 최대 1.5배 높아질 수 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과 더 미러 등에 따르면 하버드 의대 출신 내과 전문의 사우라브 세티 박사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통해 장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일들을 소개했다.
세티 박사는 “모든 과일이 장에 이로운 것은 아니며, 일부는 소화 기관에 오히려 부담을 줄 수 있다”며 대표적으로 ‘너무 익은 바나나’를 꼽았다. 그는 “바나나가 지나치게 익으면 당분이 급격히 늘어나 혈당을 빠르게 올리고, 장내 유익균에게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어 “복부 팽만감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했다.
실제로 ‘PLOS ONE’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바나나는 숙성될수록 저항성 전분과 식이섬유가 줄어들고 당분이 증가한다. 저항성 전분은 식이섬유와 유사한 역할을 하며 혈당 조절, 장 건강, 체중 관리 등 다양한 건강상 이점을 제공한다. 반대로 덜 익은 바나나는 상대적으로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장 건강에 덜 해롭다. 식이섬유는 심혈관 질환, 뇌졸중, 제2형 당뇨병, 대장암 위험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다.
세티 박사가 장 건강에 좋은 과일 1순위로 꼽은 것은 블루베리였다. 블루베리에는 천연 항산화 성분인 프테로스틸벤이 들어 있어 대장 염증을 억제하고 장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 또한 풍부한 식이섬유로 변비 해소에도 효과적이다. 뒤이어 석류가 선정됐다. 학술지 Molecules에 따르면, 석류의 폴리페놀은 장내 미생물이 발효해 만든 대사산물이 장내 환경 개선과 대사 활성 증가에 기여한다. 이 밖에도 키위 역시 수용성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 완화와 배변 횟수 증가에 도움을 주는 과일로 소개됐다. 규칙적인 배변을 하지 못하면 독소가 장벽에 오래 머물러 소화기암 발생 위험이 최대 1.5배 높아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