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최초로 단일공 비뇨기 로봇수술 1000례를 달성했다. 단일공은 하나의 절개창을 내고 그 안에 여러 기구를 넣어 수술하는 방식이다.
1000례 중 87%는 암 환자 수술이었으며, 질환은 신장암 46%(400명), 전립선암 37%(319명), 요관암 10%(89명), 신우암 5%(46명), 방광암 2%(15명) 순이었다. 수술 방식별로는 신장 기능을 보존하며 암 부위만 절제하는 고난도 ‘로봇 단일공 부분신장절제술’이 43%(425건)로 가장 많았다.
로봇수술은 의사가 조종석에서 로봇팔과 카메라를 조작하는 최소침습 수술법으로, 개복수술에 비해 흉터와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특히 전립선처럼 좁은 골반 안쪽 장기에 적합하며, 확대된 시야와 정밀한 조작으로 신경과 근육을 보존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최근에는 신장암, 방광암, 신우요관암 등 다양한 비뇨기암으로 적용 범위가 확대됐다.
단일공 로봇수술은 하나의 절개창으로 포트를 삽입해 고성능 3D 카메라와 기구를 넣는 최신 기법이다. 절개 부위가 줄어들어 통증과 흉터가 적고 회복이 빠르지만, 시야 확보와 조작 난도가 높아 고도의 술기가 요구된다.
서울성모병원은 단일공 로봇을 활용해 국내 최초로 레치우스(방광과 치골 사이에 있는 공간) 보존 전립선절제술을 시행, 전립선암 수술 후 흔히 발생하는 요실금과 발기부전 등 합병증을 최소화해왔다. 신장암 환자에게도 부분신절제술을 적용해 신장 기능을 보존하고 투석 위험을 낮췄다.
홍성후 로봇수술센터장(비뇨의학과)은 “전립선암이 2024년 기준 국내 남성암 1위로 예측되는 만큼, 이번 1000례 달성이 단일공 로봇수술의 안정성과 환자 만족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환자 상태와 수술 난이도에 맞춘 최적화된 진료를 제공하고, 국내외 환자들에게 최신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홍 교수는 단일공 비뇨기 로봇수술 개인 500례와 로봇수술 2500례를 달성한 경험을 바탕으로, 단일공 수술이 다공(여러 개의 작은 구멍을 내고 각 구멍에 기구를 넣어 수술하는 방식) 수술과 비교해 허혈시간을 줄이면서도 안전성과 효과성은 동등하다는 점을 학술적으로 입증했다. 그는 신장암 분야 명의이자 단일공 로봇수술 권위자로 평가받고 있다.
서울성모병원은 지난 8월 1일 1000례 달성을 기록했으며, 이를 기념해 15일 비뇨의학과 외래에서 축하 행사를 열었다.
1000례 중 87%는 암 환자 수술이었으며, 질환은 신장암 46%(400명), 전립선암 37%(319명), 요관암 10%(89명), 신우암 5%(46명), 방광암 2%(15명) 순이었다. 수술 방식별로는 신장 기능을 보존하며 암 부위만 절제하는 고난도 ‘로봇 단일공 부분신장절제술’이 43%(425건)로 가장 많았다.
로봇수술은 의사가 조종석에서 로봇팔과 카메라를 조작하는 최소침습 수술법으로, 개복수술에 비해 흉터와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특히 전립선처럼 좁은 골반 안쪽 장기에 적합하며, 확대된 시야와 정밀한 조작으로 신경과 근육을 보존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최근에는 신장암, 방광암, 신우요관암 등 다양한 비뇨기암으로 적용 범위가 확대됐다.
단일공 로봇수술은 하나의 절개창으로 포트를 삽입해 고성능 3D 카메라와 기구를 넣는 최신 기법이다. 절개 부위가 줄어들어 통증과 흉터가 적고 회복이 빠르지만, 시야 확보와 조작 난도가 높아 고도의 술기가 요구된다.
서울성모병원은 단일공 로봇을 활용해 국내 최초로 레치우스(방광과 치골 사이에 있는 공간) 보존 전립선절제술을 시행, 전립선암 수술 후 흔히 발생하는 요실금과 발기부전 등 합병증을 최소화해왔다. 신장암 환자에게도 부분신절제술을 적용해 신장 기능을 보존하고 투석 위험을 낮췄다.
홍성후 로봇수술센터장(비뇨의학과)은 “전립선암이 2024년 기준 국내 남성암 1위로 예측되는 만큼, 이번 1000례 달성이 단일공 로봇수술의 안정성과 환자 만족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환자 상태와 수술 난이도에 맞춘 최적화된 진료를 제공하고, 국내외 환자들에게 최신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홍 교수는 단일공 비뇨기 로봇수술 개인 500례와 로봇수술 2500례를 달성한 경험을 바탕으로, 단일공 수술이 다공(여러 개의 작은 구멍을 내고 각 구멍에 기구를 넣어 수술하는 방식) 수술과 비교해 허혈시간을 줄이면서도 안전성과 효과성은 동등하다는 점을 학술적으로 입증했다. 그는 신장암 분야 명의이자 단일공 로봇수술 권위자로 평가받고 있다.
서울성모병원은 지난 8월 1일 1000례 달성을 기록했으며, 이를 기념해 15일 비뇨의학과 외래에서 축하 행사를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