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자살 유족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인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의 실제 서비스 동의율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서명옥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 지원사업 운영 실적’에 따르면, 2024년 서비스 대상 유족 5418명 가운데 실제 지원에 동의한 유족은 344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율로 63.6%만 동의한 것인데 이는 2023년 동의율 72.6%(3643명)보다 9%p, 2022년(69.2%, 1764명)보다는 5.6%p 낮은 수치다.

해당 서비스는 자살 사망 사고가 발생하면 유족에게 심리 상담과 경제적 지원 등을 연계·제공하는 통합 지원 체계로, 현재는 전국 95개 기초자치단체에서만 운영 중이다. 보건복지부는 2026년부터 전국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나, 동의율 하락이 이어지면서 이를 높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자살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유족의 심리적 거부감이 서비스 이용을 꺼리게 하는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실제로 유족이 사망 사실을 외부에 알리는 것을 주저하거나, 장례를 비공식적으로 치르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학계는 자살 사망자 1명당 약 100명의 유족과 지인이 심리적 영향을 받는다고 추산하며, 지난해 자살 사망자 1만4588명을 기준으로 보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유족과 지인은 최대 약 14만 5000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자살을 경험한 유족은 극심한 트라우마(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등 일반인보다 자살 위험이 22배나 높은 고위험군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서명옥 의원은 “자살률을 낮추는 노력만큼 남겨진 가족을 국가가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다”면서 “유족의 회복과 지원을 위한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